본문 바로가기

제천시/동

인쇄

명서동(明西洞) (행)

【동】명동과 서부동을 통합한 지역으로 제천 시내 중앙의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1980년 제천시로 승격되면서 새로 만들어진 행정동임.

명지동(明芝洞)

  • 〔명지골, 명지리〕【동】제천시의 남쪽과 남서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남면(南面)의 지역으로서, 명지골 또는 명지리(明芝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검암(儉岩), 망월리(望月里) 중조곡(衆趙谷), 방축동(防築洞), 신대(新垈), 송정(松亭), 사전리(沙田里)를 병합하여 명지리라 해서 성산면(城山面)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금성면에 편입됨. 1983년 제천시에 편입되었다. <제보자> 智東錫(66세) 산곡동 203번지 T: 644-0324
  • 검-암1(儉岩)【마을】→금바우1.
  • 검-암2(儉岩)【바위】→금바우2.
  • 구억담-구렁【마을】산곡리 느트정 서쪽에 있는 마을.
  • 금-바우1〔검암〕【마을】금바우가 있는 마을.
  • 금-바우2〔검암, 금바위〕【바위】방축골 서쪽에 있는 검은 바위.
  • 금-바위【바위】→금바우2. 뒷-골【골】방축골 남쪽 첫 번째 골짜기.
  • 말응달-산(末應達山)【산】→멍달산.
  • 망월-리(望月里)【마을】→멍달이.
  • 멍달-산〔망응달산〕【산】멍달이 뒤에 있는 산. 경주 손씨(慶州孫氏)의 선산이 되었음. 멍달이

모산-동(茅山洞)

〔모산, 못안, 모산리〕【동】제천시의 북쪽에 위치하며 의림지를 중심으로 남쪽으로 내려오며 위치하고 있다. 본래 제천군 현좌면(縣左面)의 지역으로서, 의림지(義林池) 안쪽이 되므로 못안, 변하여 모산이라 하였는데, 안모산과 바깥모산으로 나누어진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북면(北面) 신담리(新潭里)의 일부 지역을 편입하여 모산리라 해서 읍내면(邑內面)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제천읍에 편입되었고 1980년 제천시의 승격에 따라 명칭이 동(洞)으로 바뀌었다. <제보자> 李?熙(74세) 모산동 376-1번지 T:645-2662 李興洛(76세) 모산동 94번지 金龍萬(63세) 모산동 97번지 崔榮鎬(64세) 모산동 92번지 경호-루(鏡湖樓)【정】홍류동 동쪽, 의림지 서편에 있는 정자. 1948년 초대군수 김득련(金得鍊) 경찰서장 김경술(金京述)의 발기로 친구 홍순량(洪淳艮), 오세진(吳世鎭), 이형재(李衡宰)의 후원을 얻어 목조기와로 정면3칸 측면 2칸 2층의 누각으로 이(二翼工) 8각집으로 단청했다. 갈밭-둥지【구릉】밖모산 서편위쪽에 있는 갈대밭이 있던 곳. 고리차니 【골】 피재밑 서편 골짜기. 굉-골 【골】제2의림지 서편 첫 번째 골짜기. 구의림지수리조합건물(한옥)【건물】의림지 수구 서쪽 제방 밑에 있는 1914년 6월 20일에 창설한 함석지붕의 한옥(14평). 궁도-장【터】덕고개 남쪽 터에 자리잡은 활터. 노루-목【고개】홍광초등학교 뒤와 고암동 넘어가는 고개를 모두 노루목이라고함. 덕-고개1〔적덕현〕【마을】덕고개 밑 솔밭공원 서편에 있는 마을. 덕-고개2〔적덕현〕【고개】모산동에서 신월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현 세명대학교 정문 자리) 도장-골【골】 충혼탑이 있는 골짜기. 돌-봉〔석봉, 수봉〕【산】의림지 동쪽에 있는 산. 동막-고개【고개】모산동에서 송학면 도화동 북동막리 넘어가는 재. 말-무덤【터】세명대학교로 들어가는 사거리에 용마가 묻혔다는 무덤이 있었음. 메-산【산】신터리봉 건너있는 산. 그 산 넘어가면 신월동 마라골임. 모-산(茅山)【마을】→모산동. 모산-들〔모산평〕【들】모산 앞에 있는 들. 모산-리(茅山里)【마을】→모산동. 모산-평(茅山坪)【들】→모산들. 모-재 【고개】모산동에서 송학면 오미리로 넘어가는 고개. 못-안【마을】→모산동. 묘향동산【땅】이북 평양 도민들의 묘지로 쓰기 위하여 제천시내 정의원(鄭醫院)을 경영 하던 사람이 구입하여 이북 평양도민에게 내어준 땅. 무란이-골【골】피재 제 1교옆 동쪽의 긴골짜기. 밖-모산【마을】의림지 둑 남쪽에 있는 마을. 밧-모산【마을】모산 바깥쪽에 있는 마을. 버들-만〔유지〕【못】의림지 서쪽 냇가에 있던 못. 수양버들과 창포가 유명하였음. 비득-재【산】제2의림지 서쪽에 있는 산. 현재 제천 시민들의 등산로이며 까치산이라도 명명. 산동-머리【모롱이】홍광초등학교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산모퉁이. 석-봉(石峰) [돌봉]【산】우륵동 뒷산 꼭대기 봉우리로 돌이 많은데서 유래함. 솔밭-공원【공원】1936년 병자년 수해 때 용두산 소나무가 내려와 박혀 생긴 솔밭 숲으로 넓이 약 3000평이며 제천시민의 중요한 휴식처 역할을 함. 솟대-배기 【골】작은 솟대배기 위에 있는 골짜기. 수멍-아구리【터】제2의림지와 솔밭 공원사이 잔디밭. 이 곳에 물레방앗간이 있었다함. 수-봉(秀峰)【산】→돌봉. 새목-잔등【산등성】피재 동쪽 긴 산등성이로 백련사로 가는길로 이용되었음. 신떠리-봉【산】→신터리봉. 신터리-봉〔신떠리봉〕【산】의림지 남서쪽 즉 경호루 서쪽에 있는 산으로 의림지를 팔 때 인부들의 신에 묻은 흙을 떨어서 모여진 것이라 전해짐. 심판서집-터【터】 고종 때 병조판서 지내고 고종황제의 고종 사촌형인 심상훈 판서가 기거하던 집이 있던 터 심상훈은 이강년 의병대장8도 도체찰사 명패를 받아왔다고 하며 이강년 의병진을 도왔었음. 안-모산【마을】모산 안쪽에 있는 마을. 안모산 윗-고개【고개】 의림지 북쪽 끝에서 송학면 도화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안-담 【마을】 안모산 동편 산밑에 위치한 마을. 앵두밭-골 【골】골프연습장 있는 서편 골짜기. 애국지사 이 범 우-공적비【비】이범우선생 애국지사 비석이 의림지 수리조합 뒷편 둑방에 있음. 어딘이-골【골】제2의림지 맨 끝에 서쪽으로 들어가는 골짜기. 연-암(燕岩)【바위】→제비바우. 연자-바위 (암)【 바위】 의림지 동북쪽 산 모퉁이에 있는 바위. 우륵이 이바위 위에 앉아 가야금을 많이 연주 하였다고함. 연자-암(燕子岩)【바위】→제비바우. 영호-루(映湖樓)【정】→영호정. 영호-정(映湖亭)〔영호루]【정】의림지 동쪽에 있는 정자 이조 순조(純祖) 7년(1807)에 선비 이집경(李集慶)이 세워 영호정이라 칭하고, 시를 읊으며 놀았다 함. 그 후 한국전쟁 때 부서진 것을 그의 후손 이 범 우(李範雨)가 다시 세움. 옛 궁도장【터】충녕각을 짓기 전에 있었던 활터로 외박골에 있었음. 오미-골【골】 피재 제3교옆 동쪽 골짜기. 오미-재【고개】모산 서북쪽에서 송학면 오미리로 가는 재. 와소정-터(臥沼亭-)【터】제비바위 동편에 있었던 정자 터로 영조 때 현감 이씨(李氏)가 지었다함. 외박-골【골】옛 궁도장으로 오르는 골짜기. 솔밭 공원에서 비득재 올라가는 골짜기. 용담-사【절】1950년대에 생긴 절로 옛날에 연못이 있었던 곳이라 함. 용-담 【못】용두산 오르는 골짜기 중간위치에 있는 큰 소(沼). 용두-산【산】제천시에서 제일 높은 산(해발:871m)으로 시민 중요 등산로가 되고 있음. 용추(龍湫)【소】용추배기에 있는 소(沼)로 용이 있었다 전해짐. 용추-배기(龍湫-)【골】용추가 있는 용폭하의 모든 골짜기. 용-터지기【골】홍류동 동쪽에 있는 골짜기. 용추와 용폭이 있음. 용-폭(龍瀑)【폭】→용폭포. 용-폭포(龍瀑布)【폭】의림지 서쪽에 있는 폭포. 높이 40자로 홍수시 의림지(義林池)의 물을 빼는 수구(水口)의 목이 되었는데, 양쪽이 석벽(石璧)으로 되어서 경치가 매우 아름다움. 우륵당-터(于勒堂-)〔용폭〕【터】우륵대에 있는 우륵당의 터. 신라 때 악성(樂聖)인 우륵(于勒)이 살았던 곳으로 우륵이 의림지를 수축하였다 하여 뒷사람들이 그 공을 추모하여 지은 사당이라 하는데, 현재 집은 헐어지고 빈터와 기와 조각만이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음. 우륵-동【마을】의림지 둑 남동쪽마을 우륵이 살았던 마을이라전해지며 뒤 골짜기 모두 합쳐 우륵동이라고 함. 우륵-대(于勒臺)【대】돌봉 남쪽에 있는 대. 우륵당 터와 우륵정이 있음. 우륵-정(于勒井)【우물】우륵당 동북쪽 벼랑 밑에 있는 샘. 바위 틈에서 물이 새어 나오는데, 여름에도 얼음처럼 차며, 속병에도 좋다 함. 웃물-골【골】우륵동 밑 넓은 골짜기. 유-지(柳池)[버들만]【못】의림지 서편의 작은 못으로 버드나무와 창포가 많이 자랐다고 함. 이범우선생-묘소【묘】제천 3.1운동을 주도한 인물로 대통령 표창 받은 애국지사 이범우선생 묘소로 세명대 들어가는 북측 산머리에 위치. 의림정-터(義林池-)【터】영호정 서북쪽에 있는 의림정의 터. 의림-지(義林池)〔임지〕【못】모산 남쪽에 있으며 넓이 158,677㎡, 둘레 1.8㎞ 면적 300정보. 신라 때 의림(義林)이 적성(赤城:단양), 자춘(子春:단양군 영춘면), 사열이현(沙熱伊縣:제천군 청풍), 내제(柰堤:제천)의 네 고을 사람들을 불러모아 만들었다 함. 조선 세종(世宗) 23년(1441)에 충청 관찰사 정 인 지(鄭麟趾)가 고쳐 쌓았고, 또 헐어진 것을 세조(世祖) 원년(1456)에 다시 쌓았으며, 그 뒤 또 헐어진 것을 1914년 2년 동안 고을 사람 이 종 운(李鍾雲)과 군민들이 서둘러 크게 고쳐 쌓았음. 1918년 물문을 고쳤고, 1948년 7월 둑을 바로 잡아 고쳐 쌓았음. 순채(蓴蔡)와 공어가 유명한데 순채는 1914년 못을 고칠 때 거의 없어지고 현재 홍광초등학교 연못에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공어는 1920년대 압록강 하구에서 들어와 풍미하다가 최근 외래어종의 방류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으며, 또한 가시고시가 유명한데 7~8년 전에는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자취를 감췄다. 그리고 붕어는 이 규 경의 <오주연문장전상고>에 전국에서 제일 맛이 좋다고 소개되어 있다. 못 근방에는 소나무가 울창하며, 그 사이로 영호정과 경호루의 옛 정자가 있고, 또 높이 40여 척 되는 폭포와 저녁 노을이 비치는 못의 풍경은 매우 아름다워 제천시의 으뜸이 되는 관광지로 손꼽히며. 이 못 서쪽인 충청도를 호서(湖西) 또는 호중(湖中)이라 하며, 경기도와 호서 지방을 합하여 기호(畿湖)라 함. 의림지-섬【섬】 1920년대 일제 강점 하 때 의림지 확장 공사 및 준설을 하였는데 당시 파낸 흙을 밖으로 옮기지 못해 생긴 섬으로 당시 제천 사람들의 땀이 배어있는 곳. 임소정-터(臨沼亭-)【터】→임폭정터. 임-지(任池)【못】→의림지. 임폭정-터(臨瀑亭-)〔임소정 터〕【터】신터리봉 서쪽에 있는 임폭정의 터. 작은무란이-골【골】무란이골 밑에 있는 골짜기. 작은솟대-배기【골】현대 대도사(연자바위 동편)있는 골짜기로 솟대가 있었다고 함. 작은앵두밭-골【골】앵두밭골 밑에있는 골짜기. 작은쥐방-골【골】쥐방골 아래 골짜기 피재 제 3교옆 골짜기. 장터-거리【터】 조선 고종 때 심 상 훈 판서가 제천읍내 5일장을 자기마을 앞에 강제로 열리게 한 터로 10일에 한번씩 열림.(현재 방앗간 있는 곳에서 북쪽 100미터 거리) 적덕-현1(赤德峴)【마을】→덕고개1. 적덕-현2(赤德峴)【마을】→덕고개2. 제비-바우〔연자암, 연암〕【바위】의림지 동북쪽 산 모퉁이에 있는 바위. 신라 때 우륵(于勒)이 이 바위에 앉아 가야금을 타며 놀았다 함. 제 2 의림지【못】1970년대에 만든 못으로 의림지의 보조역할로 축조됨. 직-티(稷峙)【고개】→피재. 진구헌-터(振?軒-)【터】신떠리봉에 있는 터. 밀양 군수 김 봉 지(金鳳至)가 별장을 지었었음. 진페리-골【골】1999년 완공된 제천 청소년 수련원이 있는 골짜기. 쥐방-골【골】1990년 후반에 제천시에서 만든 휴양지(놀이터)로 서편 골짜기는 근자에 무당들이 모여 무속신앙 행위를 많이 해 무당골이라 불린다. 참샘-내기【골】우륵정에서 홍사구묘에 오르는 골짜기에서 찬물이 솟아난다. 청석득【벼랑】제2의림지 서편 돌 많은 낭떠러지 벼랑. 청폭정-터(聽瀑亭-)【터】용폭포 위에 있는 청폭정 터, 채씨(蔡氏)가 창건하였었다 함. 충령-각(忠靈閣)【각】제천시의 순국선열을 제사지내기 위해 세운 사당. 충혼-탑(忠魂塔)【탑】제천시의 순국선열을 기리기 위해 중앙동 동산에 있던 것을 이전함. 피-재〔직티(稷峙)〕【고개】용두산 남쪽 줄기에서 봉양 명도리를 거쳐 원주로 넘어가는 재. 핑구-머리【산모롱이】모산동 입구로 청전동 천주교회 밑 산모퉁이를 말하며 소방서가 있음. 향현사-터(鄕賢祠-)【터】의림지 옆에 있는 임 호(林湖) 박 수 검(朴守儉)의 사당. 순조(純祖) 27년(1827) 3월에 창건하였는데, 고종 8년(1871)에 헐림. 홍류-동(紅流洞)【골】신터리봉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비가 오면 붉은 황토물이 흘러나오는데서 유래함. 1972년 8월19일 홍수 시 홍류동 위둑이 터졌다. 홍류정-터(紅流亭-)【터】홍류동에 있는 홍류정의 터. 홍사구-묘(洪思九)【묘】제천 을미의병 때 전군장 스승 안승우와 함께 전사한 19세 애국소년의 묘. 1960년에 하소동에서 이곳으로 이장하였다. 후선각-터(侯仙閣-)〔후선정터〕【터】경호루 옆에 있는 터. 밀양 군수 김봉지(金鳳至)가 창건하고 명곡(鳴谷) 최 석 정(崔錫鼎)의 기문(記文)이 있음. 후선정-터(侯仙亭-)【터】→후선각터.

산곡-동(山谷洞)

〔산의실, 산능실, 산곡, 산곡리〕【동】제천시 남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남면(南面)의 지역으로서, 산골짜기가 되므로 산의실, 산능실 또는 산곡(山谷)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이인리(里仁里)를 병합하여 산곡리라 해서 성산면(城山面)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금성면에 편입됨. 1983년 금성면에서 제천시에 편입 됨. <제보자> 智東錫(66세) 산곡동 203번지 T: 644-0324 괴-정(槐亭)【마을】→이인리. 구레기-말【마을】구억담. 구억-담〔구레기말〕【마을】이인 서쪽 구석에 있는 마을. 굿배미-골【골】진밭골 북쪽 작은 골짜기. 남배기-재【고개】황시미골을 지나 동막과 경계되는 고개. 느쟁이-구렁【구릉】느트정 동쪽 구렁. 느트-쟁이【마을】→이인리. 느티-정【마을】→이인리. 느트-정【마을】→이인리. 다랑-고개【고개】산곡동과 금성면의 경계에 있는 고개. 당-고개【고개】산으실 양지말에서 북쪽으로 명지리 넘어가는 고개. 대-티(大峙)【고개】→한티재. 도둑막-골【골】한티재 북쪽 바로 아래 골짜기. 묵노-골【골】당고개 바로 동쪽 골짜기. 방아-재【고개】묵노골 동쪽 작은 고개. 범잡은-골【골】저수지 바로 서쪽 골짜기. 법-고개〔법현,벚고개〕【고개】산곡 서남쪽에 월림리로 가는 고개로 큰 벚나무가 있었다고 함. 법-현(法峴)【고개】→법고개. 벚-고개【고개】→법고개. 사당-골【골】산으실 양지말 서북쪽으로 이어진 골짜기. 산-곡(山谷)【마을】→산곡동. 산곡-저수지【저수지】1940년 축조 된 인공 저수지. 산능-실【마을】→산곡동. 산의-실【마을】→산곡동. 산으-실【마을】→산곡동. 선녀-봉【산】큰칠 서쪽 봉우리로 선녀가 내려와 놀았다고 함. 양대-동(陽垈洞)【마을】양지말. 양지-말〔양지촌, 양대동〕【마을】산곡 북쪽에 있는 마을. 양지쪽에 있음. 양지-촌(陽地村)【마을】양지말. 원-산곡(元山谷)【마을】느티정 서쪽에 있는 산곡리의 원 마을. 음지-말〔음지촌〕【마을】산곡 남쪽에 있는 마을. 음지쪽에 있음. 음지-촌(陰地村)【마을】→음지말. 이인(里仁)【마을】→이인리. 이인-리(里仁里)〔느티정, 느트정, 느트쟁이, 괴정〕【마을】중터 동북쪽에 있는 마을. 큰 느티나무가 있었음. 작은-칠【골】큰칠에서 중터 남쪽으로 첫 번째 골짜기. 잣나뭇-골【마을】이인리 동쪽에 있는 마을. 정씨부조-묘(鄭氏不?廟)【사당】성내리에 있는 정익하(鄭益河)의 사당. 절-골【골】범잡은골 서북쪽 골짜기. 조통-골【골】산으실 음지말 남쪽 골짜기. 좆돌-바우【바위】원산곡 뒷 산에 있는 바위. 남자의 성기처럼 생겼다 함. 중-기(中基)【마을】→중터. 중-대(中垈)【마을】→중터. 중-터〔중대, 중기〕【마을】산곡과 이인 사이에 있는 마을. 진밭-골【골】팔송쟁이에서 남배기재로 들어가는 입구 북쪽 골짜기. 청룡-산【산】태봉 바로 북쪽 산으로 용의 모습으로 생겼다 함. 큰-칠【골】다랑고개 서쪽 골짜기. 태-봉【산】한티재 바로 북쪽 산. 팔송-쟁이【골】중터 입구 남쪽에 있는 구렁과 산을 일컬으며 옛날 여덟그루의 노송이 있었다고 함. 한티-재1【마을】한티재 밑에 있는 마을. 한티-재2(汗峙-)〔대티〕【고개】산곡에서 월림리로 가는 큰 고개. 청풍으로 가는 옛 관행(官行)길이었음. 황시미-골【골】진밭골 동쪽 골짜기. 흔터-골【골】성산자락 첫 번째 서쪽 구렁.

서부-동(西部洞)

〔서부, 서정〕【동】제천시내 중앙의 서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우면(縣右面)의 지역으로서, 제천읍 서쪽이 되므로 서부(西部)라 하다가,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읍내면(邑內面)의 읍부리(邑部里) 지역이 되었는데, 1940년 서정(西町)으로 고쳐 제천읍에 편입되었다가, 1949년 제천읍 동명 변경에 따라 서부동이라 함. 서-부(西部)【마을】→서부동. 서-정(西町)【마을】→서부동. 최효자-비(崔孝子碑)【비】서부동에 있는 효자 최 일 경(崔一京)의 비.

신-동(新洞)

〔새말, 내동, 신리〕【동】제천 시내의 가장 서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근우면(近右面)의 지역이었음. 새로 된 마을이므로 새말 또는 신리(新里)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석우리(石隅里)와 동막곡(東幕谷)을 병합하여 다시 신리라 하고, 1920년 9월 봉양면에 편입됨. 1983년 봉양면에서 편입되어 신동으로 개칭됨. <제보자> 權熙昇(71세) 제천시 신동 216번지 T.642-5638 鄭文熙(64세) 제천시 신동 566번지 T.642-3670 가르천〔조차장마을〕【마을】동막골 가기 전 조차장 굴 앞에 있는 마을. 가리찬이〔가리천, 가리창〕【마을】새말 동남쪽에 있는 마을. 가리창(加里倉)【마을】→가리찬이. 가막-골【골】조차장 굴다리 서쪽에 있는 골짜기. 곰배-산【산】두무실 골짜기 하류 남동쪽에 위치하는 산. 내-동(內洞)[안마을]【마을】→신동. 노루-골【골】즈리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녹-포【마을】→놋젓개. 녹포-동【마을】→놋젓개. 놋젓-개〔녹포, 녹포동〕【마을】안마을 북쪽에 있는 마을. 놋그릇을 만드는 유기점이 있었다 함. 돌-모루1〔석우리〕【마을】돌모루에 있는 마을. 돌-모루2〔석우〕【모롱이】새말 서남쪽에 있는 모롱이. 동막-곡(東幕谷)【마을】→동막골. 동막-골〔동막곡〕【마을】가리찬이 동남쪽에 있는 마을. 두무-실【골】봉양읍 삼거리와 연결되는 골짜기. 두무실-고개【고개】돌모루에서 봉양읍 삼거리 두무실로 가는 고개. 뒷-골【골】벗나무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든-바우【바위】든바웃골에 있는 바위. 밑이 떠 있어서 들려 있는 것 같음. 든바웃-골【골】새말 동쪽 산 밑에 있는 골짜기. 든바우가 있음. 만복-동(萬福洞)【마을】새말 옆에 있는 마을. 만복이라는 무당이 살았었다 함. 문암-영당(門菴影堂)【당】영수암 골짜기 서쪽에 위치한 영당. 안동 권씨의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옥소(玉所) 권 섭(權燮) 등을 모심. 바깥동막-골【마을】조차장과 인접한 동막골. 바우-배기【골】뒷골 남쪽에 있으며 산에 바위가 박혀 있음. 벗나무-골【골】가막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새-말【마을】→신동. 새-번지【골】안동막골에 있는 골짜기. 새터-마을〔신대〕【마을】신리의 가장 서쪽에 있는 새로 만들어진 마을. 석-우(石隅)【모롱이】→돌모루2. 석우-리(石隅里)【마을】→돌모루1. 성황당【성황당】벗나무골과 뒷골 사이 바깥 동막골에 있음. 수암-영당(遂菴影堂)【당】영수암에 있는 영당. 이조 숙종(肅宗)때의 학자 수암(遂菴) 권 상 하(權尙夏)를 모심. 신-대(新垈)【마을】→새텃말. 신-리(新里)【마을】→신동. 신리-교(新里橋)【다리】신리 앞에 있는 다리로 철길 건널목을 지나 봉양읍 삼거리를 잇는 길이 30m 너비 6m의 다리. (40년 전에 놓았음) 안동막-골【마을】바깥 동막골 남쪽에 고개 넘어 있는 마을. 안-마을〔내동〕【마을】만복동 북쪽 안에 있는 마을. 영수-암(永遂菴)【마을】내동에서 영수암 골짜기를 지나 북쪽에 있는 마을로 영수암 터가 있음. 영수암-골【골】영수암으로 올라가는 골짜기. 영수암-터(永遂菴-)【터】영수암에 있는 수암영당 터. 조선 숙종(肅宗) 때 권옥소(權玉所)가 창건했다 함. 영수암-폭포【폭포】영수암 골짜기 중간쯤에 위치하는 높이 7m정도의 수려한 폭포로 승려들이 참선하던 자리였으며 비석이 있었다 함. 오래나무-골【골】안동막골에 있는 골짜기. 오리나무-골【골】만복동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오리나무가 많았었다 함. 작은진-골【골】안동막골에 있는 골짜기. 장평-천【천】신리 중앙을 관통하는 하천. 절-골【골】영수암 폭포 위에서 영수암 터에 이르는 골짜기. 조차장【철도】동양 최대의 기관차를 만들고 수리하는 곳. 조차장-마을【마을】→가르천. 즈리-골【골】하천을 경계로 노루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즘-골【골】노루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예전에 질그릇을 구웠다 함. 진-골【골】안동막골에 있는 골짜기.

신백-동(新百洞)

[신백리]【동】제천시내 중앙의 동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우면(縣右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월백리(越百里), 행백리(杏百里), 관전리(官前里)를 병합하여 신백리라 해서 읍내면(邑內面)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제천읍에 편입되었고 1980년 시승격에 따라 동이 됨. 관-앞〔관전리〕【마을】신백리에 있는 마을. 옛 제천 고을 관아(官衙) 앞이 됨. 관앞-다리〔관전교〕【다리】관앞에 있는 다리. 관전-교(?前橋)【다리】→관앞다리. 관전-리(?前里)【마을】→관앞. 구렁-너머【마을】신백리에 있는 마을. 도랭기-터【마을】신백리에 있는 마을. 산굽이를 돌아서 터를 잡고 마을을 이루었다 함. 신백(新百)【마을】→신백동. 신백-교(新百橋)【다리】신백리에 있는 다리. 길이 약 20m. 신백-리(新百里)【마을】→신백동. 양지-땀【마을】도랭기터 북쪽 양지에 있는 마을. 월백-리(越百里)【마을】→홍촌말. 유-실【마을】신백리에 있는 마을. 이열녀-문(李烈女門)【정문】관 앞에 있는 장 우 정(張宇井)의 처 이씨의 열녀문. 홍촌-말〔월백리〕【마을】양지땀 북쪽에 있는 마을. ①홍씨(洪氏)가 많이 살았음. ②신백리의 산너머가 됨.

신월-동(新月洞)

〔새월이, 신월, 신월리〕【동】제천시내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좌면(縣左面)의 지역으로서, 반달(半月) 형국으로 된 산(시루봉 : 해발 657m. 떡시루 엎어놓은 모습의 산봉우리)밑이 되므로 새월이 또는 신월(新月)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상진리(上陳里), 하진리(下陳里), 마천리(馬川里)를 병합하고 우측의 봉양읍 미당2리 즉 옹당리(翁堂里) 일부 지역을 합병하여 통칭 신월리로 읍내면(邑內面)에 편제되었다가, 1940년 제천읍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1980년 제천읍이 제천시로 승격되면서 행정명이 신월동으로 바뀜. 가느-골【골】대원과학대학 북서쪽에 있는 가는 골짜기. 가느-실[가레실]【골】진등의 동쪽 골짜기. 가레-실【골】→가느실. 감박-재【고개】중담에서 마랏골 넘어오는 고개. 객수-번던【벌판】장구메기 넘어 진살메골 밑 벌판. 거천리【마을】→거천이. 거천이〔거천리, 건천이〕【마을】묵은배미 남쪽에 있는 마을. 건천이【마을】→거천이. 굴룩-번던【벌판】세명대학교 도서관 앞 벌판의 통칭. 기상-관측소【건물】신월교회 뒷쪽에 있음. 까치봉【산】덕고개와 세명고등학교 뒤에 있는 산봉우리.(해발: 624m로 제천시민의 등산로) 대-거천(大巨川)【마을】거천이의 큰 마을. 대원과학대학【학교】생기터에 자리잡고 있으며 1994년에 설립됨.→元新月(새월이) 대장-고개【고개】마랏골에서 의림지로 넘어가는 고개. 덕-고개【고개】왜가리번던을 지나 의림지로 넘어가는 고개로 현재 세명대학교 한방병원 앞. 돌뱅이-산【산】안골 앞에 철탑이 서있는 산. 돌태미【벌판】대원과학대학 입구 동편 돌이 많은 벌판. 동무뿌리-산【산】대원과학대학 입구에 있는 산. 동산-말【마을】묵은 배미 서쪽 산밑에 있는 마을.(윗동산마을과 아랫동산마을로 구분) 뒷-봉【산】하진본담 뒷산. 마-골【골】안골과 잣나무골 사이에 연못 있는 골짜기. 마당-들【들】윗마라골과 아랫마라골 사이의 들. 마랏-골〔마천리, 마하촌〕【마을】새월이 동쪽에 있는 마을로 모산동 의림지에서 흘러 내려온 물이 마을 앞을 지나가며, 조선 순조 때 세자 익위사사어(종5품)를 지낸 성긍주와 부인 연안이씨를 기리기 위해 세운 하마비가 마을 중앙에 있음. 마천-리(馬川里)【마을】→마랏골. 마하-촌(馬下村)【마을】→마랏골. 막재이산-골【골】설통바위산 옆 골짜기. 메밀밭-골【골】대거천리에서 소새골 사이의 골짜기. 모탱이【마을】중담 서남쪽 마을. 묵은-배미〔진야〕【마을】새월이 서남쪽에 있는 마을. 전에 밤나무가 많아서 밤이 묵었었다 함. 물레방아【물레방아】하진교 위 200m 지점, 신월교회 밑 100m 지점, 기상관측소 앞 50m 지점, 상진교 동쪽 100m 지점, 용바위 밑 50m 지점, 의림지 폭포 밑 용토지기에 있었음. 방죽-못【못】새새터 위쪽에 있는 연못. 백-곡(百谷)【골】→백골. 백-골〔백곡〕【골】새월이1 서쪽에 있는 골짜기. 백장마-골【골】생기터 동쪽 골짜기. 뱅뱅-골【골】뒷들로 올라가는 골짜기. 병풍-산【산】소거천리 위의 산. 분태-골【골】훈음사 있는 골짜기. 분토-골【골】마랏골 동쪽 골짜기. 불당-골【골】철탑이 있는 골짜기로 옛날에는 절이 있었다함. 비둑-재【고개】철탑이 서 있는 뒷산골짜기를 넘어가는 고개. 비둑재-구렁【구릉】비둑재 밑의 가장 긴 골짜기. 사모바위【바위】불당골에 있으며 옛날에 쓰던 사모관대와 같이 생겼다함. 사태-골【골】세명대학교 도서관 위 골짜기. 산신-당〔산지당〕【산신당】안골 북쪽 미당리와 신월동 사이의 고개길, 하진 뒷산 뒷봉에 있었다함. 산지-당【산신당】→산신당. 산지장-골【골】대거천리에서 소새골 사이의 골짜기. 삼박-골〔참박골〕【골】방죽못 밑의 삼 재배했던 골짜기. 상상-둥지【언덕】비둑재구렁 밑에 큰 묘가 있는 언덕. 상-진(上陳)【마을】→웃묵은배미. 상진-교【다리】웃묵은배미의 다리. 새경-재【고개】분태골에서 왕암동 넘어가는 고개. 새-마을【신마을】대원과학대의 설립으로 새월이 주민 26가구가 이주한 마을로 장구메기 동쪽에 있음. 새-새터【마을】동산말 동남쪽에 새로 된 마을. (의림동의 새마실과 구별하여 새새터라 함) 새-월이1【마을】→원신월.(元新月) 새-월이2【마을】신월리의 옛이름. 샘-골【골】시미골 동쪽 골짜기. 생기-터【골】대원과학대학이 위치한 골짜기. 설통바위-산【골】불당골 동쪽 벌통 놓은 바위 있는 산골짜기. 성황당【성황당】하진 입구, 상진 입구, 안골 입구, 마랏골 느티나무밑, 중담 입구, 새월이 입구, 잣나무골 입구, 대거천리 입구에 있었음. 세명고등학교【학교】까치봉밑 덕고개 위쪽에 위치하며 1988년에 설립됨. (개칭 전: 충현고등학교) 세명대학교【학교】비둑재구렁부터 주추바위골 밑에 자리잡고 있으며 1991년에 설립됨. 셋째-담【마을】윗동산마을에서 안골 가는 마을로 세 집이 있었다는 뜻. 소-거천(小巨川)【마을】거천이의 작은 마을로 예비군 종합 훈련장이 만들어 졌음. 소새-골【골】왕암동 소새 넘어가는 고개길이 있는 골짜기. 수리-바우〔수리바위, 취암(鷲岩), 응암(鷹岩)〕【바위】시루봉 옆 산 중허리에 있는 바위. 전에 수리가 새끼를 치고 살았다 함. 소중-골【골】대거천리에서 소새골 사이의 골짜기로 ‘소 죽은 골짜기’ 라고 함. 수리-바위【바위】→수리바우. 시루-봉【산】새월이 북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시루를 엎어놓은 것처럼 생겼다 함. 시루봉-구렁【구릉】작은살메골 동편에 있는 구릉지대. 시메-골【골】여우바우골 위에 위치하며 시묘살이 하던 골짜기. 시미-골【골】대장고개의 북서쪽 연못있는 골짜기에 있으며 시묘살이 하던 골짜기라는 뜻. 신-월(新月)【마을】→신월동. 신월-교【다리】신월동 가장 남쪽 입구에 있는 다리. 신월-교회【교회】아랫동산마을에 있으며 1958년 준공됨. 신월-리(新月里)【마을】→신월동. 신월-번던【구릉】백골, 잣나무골과 험한골 사이의 구릉지로 주민들은 ‘번던’ 이라함.(1953년 이후 10여가구가 입주하여 과수단지를 만듦) 아랫동산-마을【마을】신월교회가 있는 마을. 아랫묵은-배미〔하진〕【마을】묵은배미의 아래쪽에 있는 마을. 안-골〔안골마을〕【마을】상진교 북서쪽 새월이 남쪽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 안골-마을【마을】→안골. 양지-담【마을】→왕지담. 어둔이-골【골】진등 서쪽 골짜기. 여우바우-골【골】대장고개 위쪽에 있으며 여우가 살던 굴이 있음. 왕밤나무-골【골】거천리 입구 첫 골짜기로 큰 밤이 열리는 밤나무가 있었음. 왕지-담〔양지담〕【마을】하진교 남서쪽에 있는 마을. 왜가리-번던【언덕】세명대학교 본관과 세명고등학교 사이에 언덕. 용-바우1〔용바위〕【바위】상진에서 마라골 가는 중간지점에 있는 용의 모습을 닮은 바위. 용-바우2〔용바위〕【바위】냇가 옆에 있으며 작은 거천리와 하소동 경계에 있는 용처럼 생긴 바위.(4차선 도로 확장으로 인해 중간이 절단됨) 용-바위【바위】→용바우1?2. 용새-골【골】세명대학교 도서관 위에 두 갈래로 갈라진 골짜기. 용토지기【터】의림지 폭포 밑 큰 바위가 있는 곳. 웃묵은-배미〔상진〕【마을】묵은배미 위쪽에 있는 마을. 원-신월(元新月)【마을】→새월이1?2. 윗동산-마을【마을】기상관측소 서편 마을로, 일제 때 큰 공회당이 있었다함. 윤전이【골】종자보급소 있는 곳 동쪽 골짜기. 응-암【골】→용바우1?2. 자작나무-골【골】생기터 서편 골짜기. 작은가느-골【골】시루봉 남서쪽에 있는 골짜기. 작은산드메-골【골】덕고개 남쪽에 있는 골짜기. 작은살메-골【골】남쪽에서 시루봉 올라가는 골짜기. 잔대비-골【골】분태골 동쪽 골짜기. 잔등지기【터】뱅뱅골 밑 뒤뜰 올라가는 고개를 제외한 터. 잣나무-골【마을】대원과학대학 서편에 있는 마을. 장구-메기【산】장수메기 위 산봉우리. 장수-메기【고개】대원과학대학에서 골짜기로 넘어가는 고개. 정-골【골】용새골 동편 골짜기. 종자-보급소【건물】질고개 북동쪽에 있는 건물로, 1987년 개소(開所)됨. 주추바위-골【골】세명대학교 본관 뒤 골짜기. 중계-탑【중계탑】시루봉 정상에 있는 TV중계탑. 중-담【마을】대원과학대학 앞에 있는 마을로 새월이와 상진 중간에 위치하여 ‘중담’이라 명명함. 진-골【골】아래마랏골 서쪽 골짜기. 진-등【등성이】하진에서 백골 올라가는 산등성이. 진-야(陳夜)【마을】→묵은배미. 진살메-골【골】남쪽에서 시루봉 올라가는 골짜기. 진장-동【골】새월이 북쪽에 있는 골짜기. 진잔-등【등성이】시루봉 올라가는 산등성이. 질-고개1【마을】질고개 밑에 있는 마을로 1980년 이전까지 옹기를 많이 생산했음. 질-고개2【고개】거천이 동쪽에서 봉양면 왕암리로 가는 고개. 질흙이 났음. 참박-골【골】→삼박골. 철철바위-골【골】상상둥지 위 골짜기. 취-암(鷲岩)【바위】→수리바우. 층자-골【골】안골 동북쪽 골짜기. 큰가느-골【골】시루봉 남서쪽에 있는 골짜기. 큰산드메-골【골】덕고개 남쪽에 있는 골짜기. 하마-비【비】마랏골에 중앙에 있으며 1836년에 아들 도 묵(道?)이 세움. (‘비’로부터 약 1㎞지점에서 말에서 내려 경건한 마음으로 출입하라는 뜻으로 만든 묘) 하-진(下陳)【마을】→아랫묵은배미. 하진-교【다리】아랫묵은배미에 있는 다리. 하진본-담【마을】하진교 밑에 있는 마을. 하진아랫-담【마을】하진본담 아래 있는 마을. 향토예비군-훈련장【장소】작은거천리에 있으며 1980년 만들어짐. 험한-골〔흠한골〕【골】시루봉 아래 서쪽에 있는 골짜기. 훈음-사【절】새경재 아래에 있는 절. 흠한-골【골】→험한골.

영천-동(榮川洞)

〔모라내, 모랏내, 사천리, 영정, 모란〕【동】제천시내의 중앙 남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우면(縣右面)의 지역으로서, 모라내(사계)옆이 되므로, 모라내, 모랏내 또는 사천리(沙川里)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읍내면(邑內面) 화산리(花山里)에 딸렸으며, 1940년 영정(榮町)이라 하여 제천읍에 편입되었다가, 1949년 제천읍 동명 변경에 따라 영천동으로 고침. 고장-숲【숲】영천동에 있는 숲. 고종(高宗) 33년(1896) 4월에 의병 대장(義兵大將) 유 인 석(柳麟錫)이 이곳에서 왜병을 격퇴하였음. 군자루-터(君子樓-)【터】남당서원 터 앞에 있던 군자루의 터. 남-당(南塘)〔서당동〕【마을】남당서원 터 근처의 마을. 남당못-터(南塘-)〔동방지 터〕【마을】남당서원 터 앞에 있는 남당못 터. 연꽃이 무성하였음. 남당서원-터(南塘書院-)【터】제천역 안 소화물 창고자리에 있는 서원 터. 이조 선조(宣祖) 3년(1570)에 현감 전 홍 민(全弘敏)이 세워 읍 남쪽 못 옆이 되므로 남당 서원이라 하여 퇴계(退溪) 이 황(李滉)을 모셨다가, 순조(純祖) 31년(1831)에 상곡(商谷) 강 유(姜瑜)를 배향하였음. 동방지 터(東方池-)【터】→남당못 터. 모라-내【마을】→영천동. 모라내-다리〔사천교〕【다리】모라내에 있는 다리. 모란【마을】→영천동. 모랏-내【마을】→영천동. 사천-교(沙川橋)【다리】모라내 다리. 사천-리(沙川里)【마을】→영천동. 서당-동(書堂洞)【마을】→남당. 서문이〔솔티, 송티리〕【마을】영천동에 있는 마을. 솔이 많았음. 솔-티【마을】→서문이. 송티-리(松峙里)【마을】→서문이. 역전(驛前)【마을】제천역 앞에 있는 마을. 영-정(榮町)【마을】→영천동. 제천-역(堤川驛)【역】모라내 남쪽에 있는 중앙성 기차 정거장. 1941년에 세움.

왕암-동(旺岩洞)

〔왕암, 왕암리〕【동】제천시내의 서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근우면(近右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묵지리(墨只里), 소사리(素沙里), 한의동(閑儀洞)을 병합하여 왕바우(王岩)의 이름을 따서 왕암리라 함. 1920년 9월 봉양면에 편입되었고 1983년 봉양면에서 제천시에 편입되어 왕암동으로 개칭됨. 왕암 농공단지 조성으로 인해 소새 지역의 주민들이 1998년 모두 이주했음. (‘왕’자를 한자로 ‘?’으로 쓰기도 하는데 이는 조선 인조가 청나라군을 피해 월악산으로 몽진 도중 잠깐 머물렀다는 데서 유래함) <제보자> 黃建煥(68세) 봉양읍 중앙아파트 840-307호 T: 646-4059 南基哲(71세) 청전동 499-24 번지 T: 642-6439 朴皓陽(72세) 왕암동 714 번지 T: 642-8468 고른-재【고개】굴바우 옆에 있으며 넘으면 하소동 약수터가 나옴. (고른: 하소동 옛명) 고사리-골【골】영수암골 동쪽 골짜기로 산을 넘으면 천남동에 이름. 골-안〔소새〕【골】소새 골짜기를 통칭하는 말. 공동묘지-골【골】시까지재 남쪽에 있으며 질고개로 넘어가는 곳의 공동묘지 골짜기. 구학-산【산】활마루터와 한의골 사이에 있는 산으로 정자가 있었으며 아홉 학자(서포 김만중 포함)가 공부했던 곳이라 전해짐. 굴-바우【바위】고른재 남쪽에 위치하며 굴이 있는 바위가 있다. 네미(너미)승지-골【골】승지골에서 북쪽으로 우회하여 난 골짜기. 다래-골【골】큰골 바로 남쪽 골짜기. 단감-들(뜰)【벌판】→잘감들. 달바-골【골】웃소새의 서편 골짜기로 달이 밝았다는 데서 유래. 대미-들【벌판】활마루터 동쪽 산밑으로 화살이 떨어지는 곳에 위치함. 당-집【성황당】아랫소새 동남편에 위치함. 더운-골【골】시비미골 서쪽 골짜기로 샘물이 있음. 마구할미-바우【바위】왕바우 옆에 있는 큰 바위. 마귀 할머니가 가져다 놓은 것이라 전하며 할머니 오줌자국이 남아있음. 말림가-골【골】말림골 동쪽 골짜기. 말림-골【골】고사리골 동쪽 골짜기. 먹지-리【마을】→아랫소새. 묵지-리(墨只里)【마을】→아랫소새, 새터2. (전하는 말에 의하면 정확한 장소는 선돌1과 선돌2 사이의 개울 옆을 일컫는다. 이 장소는 버드나무가 많았고 흙이 검었다 하며 그 흙을 식용으로 하여 보리고개를 넘겼다 함) 물방아-둥지【터】장선골에서 아랫소새로 내려오는 물레방아가 있던 곳. 백정미-골【골】새경재 밑의 골짜기로 백정이 살았다 함. 부자-집【터】현존하지는 않으나 전설에 의하면 선돌2 북쪽에 위치했었다 하며 집에 있는 우물물이 단맛이 났다 함. 전설에 의하면 이 부자집에 인심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므로 며느리가 귀찮은 나머지 어느 노승에게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우리집에 오지 않겠습니까?” 하니 노승이 답하기를 “집 앞에 큰 돌 세 개를 세우고 서쪽 장네미골로 길을 내면 손님들이 오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며느리는 즉시 앞쪽에 세 개의 돌(선돌1,2,3)을 세우고 장네미골에 길을 내었더니 정말로 사람들의 왕래가 없었다. 그러나 그 부자집은 이내 망하고 말았다고 전해진다. 부치목-고개【고개】주막이 있었던 고개. 산지당-골【골】말림가골 동쪽 골짜기로 산신당이 있었다 함. 삼밭-골【골】승지골 아래 골짜기로 삼을 재배하였다 함. 상-소사(上素沙, 上所沙)【마을】→웃소새. 새경-재【고개】백정미골의 북쪽 골짜기 및 고개. 새-터1(新, 射)【마을】→활마루터. (현재는 ‘새’의 의미가 새로움의 의미로 쓰이고 있으나 제보자에 의하면 ‘새’는 ‘射’의 뜻에서 나온 것이라고 함) 새-터2〔신대〕【신마을】아랫소새 서남쪽에 새로 된 마을. 서낭뒷-골【골】당집 바로 남쪽 골짜기. 선돌1【선돌】장네미골 아래에 서 있는 돌로 지금은 터만 남아있음. 선돌2【선돌】잘감들 중앙에 있었으며 현재는 터만 남아있음. 선돌3【선돌】작은재골 서쪽에 위치했다고 전해짐. (한국전쟁 당시 비행기 폭격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현재 장소에는 제천시내 우회도로가 건설중임) 설겅-지【구릉】우견이골 입구의 북쪽 구릉. 소사-리(素沙里, 所沙里)【마을】→소새. 소새(素塞)〔소사리, 골안〕【마을】왕암리 동쪽에 있는 마을의 통칭. 아랫소새와 웃소새로 나뉘어 있음. 쇠경텃-거리【골】황새등 아래 골짜기로 소경이 살았다고 전해짐. 승지-골【골】아랫소새 동북쪽 골짜기로 연산군 때 장씨 성을 가진 승지가 묻혔다는 데서 유래. 비석이 있었다 함. 시까-지【구릉】시까지재 밑의 구릉지대. 시까지-재【골】공동묘지골 북쪽 골짜기. 시비미-골【골】오복할머니골짝 서쪽 골짜기. 신-대(新垈)【신마을】→새터2. 아래달바-골【골】달바골 바로 밑의 골짜기. 아래참새-골【골】참새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아랫-소새〔하소사, 묵지리, 먹지리〕【마을】묵지리를 포함한 소새 아래쪽에 있는 마을로 창령 조씨가 오랫동안 살았다 함. 앞말림【산】즘골의 남쪽 작은 산. 염불-바우〔염불암〕【바위】마구할미바우 왼쪽에 있는 바위로 염불하는 중처럼 생겼다 함. 염불-암(念佛岩)【바위】→염불바우. 영수암-골【골】영수암이 있었던 북쪽 골짜기. 오복할머니골짝【골】고른재 북쪽에서 남서쪽으로 난 골짜기. 오소리바위-골【골】앞말림 위 골짜기. 왕-바우〔왕암2〕【바위】아랫소새 서쪽 가운데에 있는 큰 바위로 ‘왕암’이란 지명이 유래함. 갑오경장(1894) 때 세 쪽으로 갈라졌다 함. 왕-암1(旺岩, ?岩)【마을】→왕암동. 왕-암2(旺岩, ?岩)[큰바위]【바위】→왕바우. 왕암-교【다리】활마루터와 한의동을 연결하는 다리. 왕암-리【마을】→왕암동. 우견이-골【골】설겅지, 즘골 주위를 크게 일컫는 말. 울올이-골【골】폭포둥지 남쪽 골짜기로 버드나무로 퇴비를 만들던 노래인 ‘울올이 노래’가 있었다 함. 웃산지당-골【골】산지당골 동쪽 골짜기. 웃-소새〔상소사〕【마을】소새 위쪽을 일컬음. 작은재-골【골】큰재에서 새터2로 넘어가는 골짜기. 작은-폭포【폭포】→폭포둥지. 잘감-들【벌판】새터 아래쪽(묵지리, 아랫소새, 새터2)을 통칭하여 일컫는 말로 예전에는 이 근처에서 단물이 나는 샘이 있었다 함. 장가지-골【골】장선골 바로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고씨 성을 가진 정승묘가 있었다 함. 장네미【고개】봉양읍 장평리와 맞다은 고개. 장네미-골【골】장네미고개에 있는 골짜기. 장선-골【골】장가지골 아래 남쪽에 있는 골짜기. 장자텃-골【골】아래달바골 바로 남쪽 골짜기. 재피-골【터】웃소새의 동쪽 내리막길 옆 작은 터. 주막【주막】새터1에서 소새로 넘어가는 고개에 있었던 주막. 단종 유배중에 하루를 머물렀다는 장소로서 묵고 난 다음날 아침 눈이 와서 귀양을 애닯게 했다는 곳. 쥐니-골【골】구학산에서 한의동 중간에 있는 골짜기. 즘-골【골】설겅지 동편 골짜기. 즘-말【터】옹기를 구웠다는 마을로 재피골 남쪽 산자락 터에 있음. 지당-골【골】장네미골 남쪽 골짜기. 질-고개【고개】신월동과 하소동에서 왕암으로 넘어오는 고개. 참새-골【골】큰재 동쪽에 있는 골짜기. 큰-골【골】서낭뒷골 바로 남쪽 골짜기. 큰-바위【바위】→왕암2. 큰-재【고개】아랫소새에서 작은재골로 넘어가는 고개. 폭포-둥지【폭포】울올이골 바로 밑 도랑에 있는 작은 폭포. 하루-골【마을】→한의골, 한의동. 하-소사(下所沙)【마을】→아랫소새. 한의-동(閑儀洞)【마을】→한의골, 하루골. 한의-골〔한의동, 하루골〕【마을】새터 서쪽에 있으며 구학산 서쪽 골짜기 마을. 활마루-들(뜰)【벌판】→활마루터. 활마루-터〔활마루들, 새터1〕【벌판】왕미초등학교 남서쪽 넓은 벌판을 일컬음. 황새-등【산등성】큰 바위 서북쪽에 있는 산잔등.

제천-시(堤川市)

〔내토, 내제, 제주현, 제천현, 제천면, 읍내면, 제천읍〕【시】충북 북부지역에 위치하며 현재 행정구역상 1시 1읍 7면을 통칭한다. 본래 제천현의 오른쪽이 되므로 현우면(懸右面)이라 하여 한사(寒寺), 갈마(渴馬), 서당(書堂), 화산(花山), 관전(官前), 백야(白夜), 동문외(東門外), 청전(靑田), 소근(素近)의 9개 동리를 관할하다가, 그 뒤 읍부(邑部), 교동(校洞), 사천(沙川), 하소(下所), 상소(上所), 월백(越百), 행백(杏百)의 7개 동리를 더 두어 관할하다가,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현좌면(縣左面)의 모산(茅山), 토구지(土九之), 장락(長樂), 고암(古岩), 도티(道峙), 신월(新月), 진야(陳夜), 둔전(屯田)의 8개 동리와 동면(東面)의 흑석(黑石), 송티(松峙), 상봉(上鳳), 하봉(下鳳), 응동(應洞), 유곡(酉谷), 부곡(釜谷), 삼거(三巨), 증계(曾溪), 한천(寒泉), 송현(松峴), 백양(白陽)의 12개 동리와 북면(北面)의 신담리(新潭里) 일부와 단양군(丹陽郡) 어상천면(魚上川面)의 자작리(自作里) 일부를 병합하여, 제천 읍내의 이름을 따서 읍내면(邑內面)이라 하여 읍부, 화산, 하소, 청전, 신백(新百), 신월(新月), 모산, 장락, 고암, 흑석(黑石), 두학(頭鶴), 고명(高明)의 12개리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17년에 제천면으로 고치고, 1940년 읍으로 승격하는 동시에 읍부리를 갈라서 대성정(大成町), 화천정(和泉町), 소화정(昭花町), 서정(西町), 대화정(大和町), 영정 일정목(榮亭一丁目), 영정 이정목(榮亭二丁目)으로, 화산리를 갈라서 남현동(南峴洞), 영정(榮町)으로 하였다가, 1946년 왜식 동명 변경에 의하여 소화정을 명동(明洞)으로, 서정을 서부동(西部洞)으로, 대화정을 의림동(義林洞)으로, 대성정을 교동(校洞)으로, 화천정을 동현동(東峴洞)으로, 영정 일, 이 정목을 중앙로 일, 이 가(中央路一,二街)로 고쳤다가 현재 행정동 9개동과 법정동 27개동을 관할하고 있다. 제천시내는 동쪽은 단양군(丹陽郡) 어상천면(魚上川面)과 강원도 영월군(寧越郡) 남면(南面), 남쪽은 금성면(錦城面), 서쪽은 봉양읍(鳳陽邑), 북쪽은 송학면(松鶴面)에 닿아 있으나 1995년 시군 통폐합에 따라 제천시?군 전역을 제천시라 칭함.

강제-동(江諸洞)

〔강제골, 강제리〕【동】제천시의 남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남면(南面)의 지역으로서, 강제골 또는 강제리(江諸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장정리(獐井里), 진우동(進友洞), 동면(東面)의 백양동(白楊洞)일부와 근우면(近右面)의 고지동(古之洞)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강제리라 해서, 성산면(城山面)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금성면에 편입, 1983년 금성면에서 제천시에 편입되었음. <제보자> 李殷雨(67세) 강제동 448번지 T: 647-6979 강제-골【마을】→강제동. 강제-리(江諸里)【마을】→강제동. 고목-소나무【나무】멍달입구에 있는 소나무로 수령이 약400년 정도로 추정. 노루-물〔장정, 장정동〕【마을】강제골 서북쪽에 있는 마을. 노루가 다리가 부러져 샘물을 먹고 고쳤다는 전설이 있는 곳으로 현재에도 샘이 있음. 멍달-구렁【골】명지초등학교 동남쪽 성산쪽 골짜기. 만월-동【산등성이】진우골 남쪽 산등성이. 몽암-사【절】강제동과 명지동 사이에 있는 절. 배나무-들【들】파골 모퉁이 남쪽 하천 옆 들. 사-곡(寺谷)【마을】→절골. 성-산(城山)【산】진우골 남쪽 산으로 토성이 있음. 임진왜란 당시 연장군이 왜군에게 패하고 전사했다고 전해지며 묘가 바로 앞 능선에 있었다 함. 소나무-재【고개】고목 소나무에서 우시장 남쪽으로 지나는 재. 안-골【골】현 기능대학 자리를 말함. 역-들〔역평〕【마을】노루물 서쪽에 있는 마을. 조선시대에 역이 있었다 함. 역-평(驛坪)【마을】→역들. 옥내-봉【산】→옥녀봉. 옥녀-봉[옥내봉]【산】강제골 서남쪽, 진우골 남쪽에 있는 산. 전설: 옛날 선녀(옥녀)가 근처의 연못에서 목욕을 하고 승천하다가 옥가락지를 떨어뜨렸다고 한다. 지금도 옥녀봉 꼭대기에는 반지구멍이 있다. 우-시장【우시장】만월동 남쪽 가축시장. 장-정(獐井)【마을】→노루물. 장정-동(獐井洞)【마을】→노루물. 절-골〔사곡〕【마을】진우골 서쪽에 있는 마을. 큰절이 있었음. 지금도 기와 조각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 제사-공장【공장】고명동과 경계되는 지역에 있는 오래된 잠업공장. 준무-재【고개】명치초등학교 동쪽 진우골 입구의 작은 재. 쥐니-들【들】준무재 북쪽 바로 앞 들. 진우-골〔진우동〕【마을】역들 동남쪽에 있는 마을. 진우-동(進友洞, 鎭寓洞)【마을】→진우골. 진흙-골【마을】→진우골. 큰보-들【들】쥐니들에서 장평천 사이의 들. 파골-모퉁이【모롱이】금성길에서 명지초등학교를 지나 준무재로 가는 길모퉁이. 황-골【골】진우골에서 옥녀봉으로 올라가는 골짜기.

고명-동(高明洞)

〔고명, 고명리〕【동】제천시의 남동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동면(東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삼거리(三巨里), 증계리(曾溪里), 한천리(寒泉里), 송현리(松峴里)와 백양동(白陽洞)의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고명리라 해서 읍내면(邑內面)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제천읍에 편입됨. 1980년 시승격에 따라 법정동이 됨. <제보자> 李相珪(65세) 동현동 552번지 T: 642-4421 宋東植(68세) 고명동 349번지 T: 647-1732 갈-고개【고개】대랑동과 고명동 사이의 고개. 개다박-골【골】징계 아래 북서쪽 첫 골짜기. 고명【마을】→고명동. 고명-리【마을】→고명동. 고명-사【절】고명산 서쪽 기슭에 있는 절. 고명-산[뒷재]【산】차나물 위에 있는 산. 금가마-골【골】고명역 뒤 골짜기. 금-계【마을】→증계, 징계. 금-바위【바위】호명산 아래 소재 북동쪽에 있는 바위. 나부자-골【골】방축골 북쪽 골짜기. 대-가리-못【못】→미기지. 대-가리못-둑〔대갈야지제〕【둑】대-가리못을 쌓은 둑. 대갈야-지(大葛也池)【못】→미기지. 대갈야지-제(大葛也池堤)【둑】→대-가리못 둑. 대랑-골【골】대랑리에서 소재로 들어오는 입구. 대추-골【골】미골 아래 골짜기. 모사-골【골】솔담 맞은편 골짜기. 미겨미【마을】→미기미. 미겸지【마을】→미기미. 미-골【골】안간지 아래 골짜기. 미기미[미겨미, 미겸지]【마을】숲안 동남쪽에 있는 마을. 미기지가 있음. 미기-지(美機池)〔대갈야지, 대-가리못〕【못】미기미 남쪽에 있 는 못. 박실-터【터】의림공고 후문과 운동장 터. 방축-골【골】대랑리에서 소재로 들어오는 입구 공장 터. 백암-동(白岩洞)【마을】→뱅골. 백양-동(白楊洞)【마을】→뱅골. 뱅-골〔백암동, 백양동〕【마을】삼거리 동남쪽에 있는 마을. 벌-자리【들】범창골 아래 세거리 가는 하천 부근의 들. 범창-골【마을】소재 옆에 있는 골짜기와 마을. 범이 많았다 함. 불당-골【골】고명사가 있는 골짜기. 비득-재【고개】뱅골 꼭대기에서 매포길로 나가는 고개. 삼-거리(三巨里)〔세거리〕【마을】숲안 동남쪽에 있는 마을. 세-거리【마을】→삼거리. 소-골【골】고명역 부근 세거리 쪽 골짜기. 소-재1〔송현〕【마을】소재 밑에 있는 마을. 소-재2〔송현〕【고개】징개 서남쪽에서 차나물로 가는 고개. 큰 소나무가 있었다 함. 소지기-골【골】소골 맞은편 산너머의 두학동과 경계되는 곳. 솔-담【모롱이】대랑골 위쪽 모퉁이. 송-현1(松峴)【마을】→소재1. 송-현2(松峴)【고개】→소재2. 수-내(藪內)【마을】→숲안. 숲-안〔수내, 임내〕【마을】고명동 서북쪽에 있는 마을. 앞에 숲이 울창하였는데, 그 안쪽이 됨. 안간-지【골】불당골 서쪽 골짜기. 알미-들【들】세거리 밑에서 숲안 쪽의 들을 칭함. 요-골【골】의림공고 후문 뒤. 우-차나물【산등성이】차나물 위쪽을 지칭함. 월성-골【마을】의림공고 입구. 윤장군-묘【묘】청풍현 동사무소 자리 옆에 있는 임진왜란 당시 공을 세운 장군 묘. 전설에 의하면 윤장군의 겨드랑이에 날개가 달려 있는 것을 보고 역적의 기운이라 하여 누이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전해짐. 임-내【마을】→숲안. 중계-탑【탑】방송을 전파하는 철탑으로 숲안 남쪽에 있음. 절-골【골】솔담 위쪽 골짜기. 증-계(曾溪) [금계〕【마을】→징계. 징-계 [금계〕【마을】→증계. 차나물〔찬우물, 한천〕【마을】소재 동북쪽에 있는 마을. 찬우물이 있음. 찬-우물1【마을】→차나물. 찬-우물2【우물】차나물 산중턱 밭 한복판에 있는 우물로 지명비석이 서 있으며 겨울철에는 물이 따스하고 여름철에는 얼음처럼 차다 함. 청풍현 동면 사무소 자리【집】현 이상규씨 집으로 동현동 552번지로 집 뒤 100년이 넘은 산수유나무가 있음. 한-천(寒泉)【마을】→차나물. 호명-산(虎鳴山)【산】소재의 꼭대기 범창골 위의 산. 호랑이가 많았고 울었다 함.

고암-동(古岩洞)

〔고라미, 고래미, 고암, 고암리〕【동】제천시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좌면(縣左面)의 지역으로서, 고인돌과 같은 큰 바위가 있으므로 고라미, 고래미 또는 고암(古岩)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도티리(道峙里)와 운전리(雲田里)를 병합하여 고암리라 해서 읍내면(邑內面)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제천읍에 편입, 1980년 제천시의 승격으로 동으로 됨. <제보자> 金琯應(58세) 고암동 535-4번지 李時鍾(66세) 고암동 1027번지 T: 642-1199 가래-실【골】 한전변전소 앞 둔전동사이 긴 골짜기. 고라미【마을】→고암동. 고래미【마을】→고암동. 고암(古岩)【마을】→고암동. 원고암, 고라미마을로 불리며 고암동 중심에 위치한 마을. 고암-들〔고암평, 소챗들, 서챗들, 서채평〕【들】고암 남쪽 고래미 마을 앞에 있는 넓은 들. 고암-평(古岩坪)【들】→고암들. 고집-골【골】 영아원 뒷산 골짜기 그곳에 상여 보관하던 고집이 있었음. 고척(高尺)【마을】고라미 동북쪽에 있는 마을. 높은 지대에 있음. 기-곡(基谷)【마을】→텃골. 도-치1(도티, 되티, 도티재, 둔티2)【고개】 당모루 서남쪽에서 청전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병자호란 때 오랑캐가 진을 쳤다고 함. 도-치2〔도티, 되티〕【마을】 도티재 밑에 있는 마을. 도티-재【고개】→도치 달봉-재1【마을】→톳고개1. 달봉-재2【고개】→톳고개2. 당-모루1〔당우리〕【마을】 고래미 마을 서북쪽에 있는 마을 현재 제천병원 앞 마을. 당-모루2【모롱이】고라미 서북쪽에 있는 산모롱이. 서당이 있 었음. 당우-리(堂隅里)【마을】→당모루1. 도-티1(道峙)【마을】→되티1. 도-티2(道峙)【고개】→되티2. 되-티1〔도티, 둔티〕【마을】되티 밑에 있는 마을. 되-티2〔도티, 둔티〕【고개】당모루 서남쪽에서 청천리로 가는 고개. 병자호란 때 오랑캐가 진을 쳤던 곳이라 함. 등넘어골【골】 정수장 있는 골짜기. 돌봉-재1【마을】→톳고개1. 돌봉-재2【고개】→톳고개2. 둔전-골〔운전리, 안당모루, 둔전동, 둔전말〕【마을】당모루 북쪽 안에 있는 마을. 둔전(屯田)이 있었다 함. 둔전-동(屯田洞)【마을】→둔전골. 둔전-말【마을】→둔전골. 둔-티1(屯峙)【마을】→되티1. 둔-티2(屯峙)【고개】→되티2. 무-곡(茂谷)【마을】→무덤실. 무덤-실〔무곡〕【마을】당모루 서북쪽에 있는 마을. 고려장으로 추측되는 옛 묘가 있음. 바람-골【골】텃골과 재텃골 사이 동북쪽 골짜기. 바람이 세게 불었다함. 번던【들】홍광초등학교 앞 벌판. 배나무-골【마을】현 제천병원 근방 서북쪽 마을을 말함. 뱃-재〔팻재, 패현〕【고개】고척 북쪽에서 송학면 무도리로 가는 재. 옛날에 군사가 패한 곳이라 하여 넘기를 꺼려하였으며, 산행 길은 지금도 피함. 벌-말〔평촌〕【마을】고라미 서남쪽 벌판에 있는 마을로 ‘坪村’이라고 한문으로 쓴다. 비행장(飛行場)【비행장】1955년 1월에 만들어진 유엔군 비행장으로 70년대 중반 포장되었으며 현재는 헬기와 경비행기 이착륙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삼-거리【마을】→참나무쟁이. 서릿-골【골】제천여중과 청솔아파트 서편 골짜기와 마을로 옛날 다른 곳 보다 서리가 많이 오는 골짜기였다고 함. 서채-평(鋤蔡坪)【들】고암들. 서채평-제(鋤蔡坪堤)【둑】→소챗둑. 서챗-들【들】고암들. 소챗-둑〔서채평제〕【둑】소챗들에 있던 둑으로 1936년 병자년 수해때 무너짐. 소챗-들【들】→고암들. 안-당모루【마을】→둔전골. 안산넘어-골【골】고래미 마을에서 육판산에 오르는 골짜기. 양구-대(楊舊垈)【마을】→양구터. 양구-터〔양구대〕【마을】고라미 북쪽에 있는 마을. 전에 양씨가 많이 살았음. 오양-골【마을】→텃골. 운전-리(雲田里)【마을】→둔전골. 윗-골[윗터골]【골】둔전동과 무덤실 사이에 북쪽으로 있는 골짜기. 육판-산【산】고래미 마을 동북쪽에 있는 산. 의병-묘[애국지사묘]【묘】7의사묘, 김상태묘, 최욱영묘 세 개가 있음. 작은-골【골】 의병장 애국지사 묘가 있는 골짜기. 참나무-쟁이〔삼거리〕【마을】당모루 남쪽에 있는 마을. 본래 장락리의 대밑 앞 세 갈림길에 큰 참나무가 있으므로 참나무쟁이 또는 삼거리라 하였는데, 이 곳으로 길을 옮기니, 그 대로 참나무쟁이 또는 삼거리라 함. 재텃-골【골】텃골 남쪽의 마을. 텃-골〔기곡, 오양골〕【마을】벌말 동쪽에 있는 마을. 뒷산형이 소가 누운 형국이라 함. 톳-고개1〔달봉재, 돌봉재〕【마을】톳고개 밑에 있는 마을. 톳-고개2〔달봉재, 돌봉재〕【고개】무덤실과 당모루 사이에 있는 고개. 옥토끼가 달을 보는 형국이라 함. 패-현(敗峴)【고개】→뱃재. 팻-재【고개】→뱃재. 평-촌(坪村)【마을】→벌말.

교-동(校洞)

〔향굣골,

남천-동(南泉洞)

〔한사, 한사리, 한사동, 한사사동, 한사사리〕【동】제천시내 중앙의 동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우면(縣右面)의 지역으로서, 한사(寒寺)가 있으므로 한사(寒寺), 한사리(寒寺里), 한사사리(寒寺寺里), 한사사동(寒寺寺洞), 한사동(寒寺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읍내면(邑內面) 화산리(花山里)의 지역이 되었다가, 1940년 제천읍에 편입되고 1949년 동제 실시에 따라 화산리에서 갈라져 남천동이라 함. 관-안산(官安山)【산】→수도산. 벌을-산(伐乙山)【산】→수도산. 사-산(寺山)【산】수도산. 상수도-기념비(上水道記念碑)【비】수도산에 있는 기념비. 1941년에 제천읍의 상수도 시설을 기념하여 세움. 서울-고개【고개】남천동을 거쳐 동현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조선시대 단종이 서울을 보며 울고 지나갔다고 함. 수도-산(水道山)〔절산, 사산, 벌을산, 관안산〕【산】남천동 남쪽에 있는 산. ①1940년 상수도 시설을 함. ②원각사와 한산사가 있음. ③옛 제천 고을 관아의 안산이 됨. 원각-사(圓覺寺)【절】한사 151번지에 있는 절. 1936년에 세움. 절-산【산】→수도산. 한-사(寒寺)【마을】→남천동. 한사-동(寒寺洞)【마을】→남천동. 한사-리(寒寺里)【마을】→남천동. 한사사-동(寒寺寺洞)【마을】→남천동. 한사사-리(寒寺寺里)【마을】→남천동. 한사의 터(寒寺-)【터】한사리에 있던 옛 절 한사의 터. 한산-사(寒山寺)【절】한사 남쪽 산에 있는 절. 1933년에 세움.

대랑-동(大郞洞)

〔대랑 ? 골, 대랑곡, 대랑리〕【동】제천시의 남동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남면(南面)의 지역으로서, 대랑골 또는 대랑곡(大郞谷), 대랑리(大郞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유원(愉院), 노송나무배기, 송이실을 병합하여 대랑리라 해서 성산면(城山面)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금성면에 편입됨. 군부대의 주둔으로 2개 마을이 없어지고 1989년 제천시로 편입되었음. <제보자> ?崔英洙(77세) 대랑동 213번지 T: 644-2575 가나-골【골】절골 아래 작은 골짜기. 가막-골【골】갈고개 밑 바로 남쪽 골짜기. 갈-고개【고개】고명동에서 대랑동으로 연결되는 고개. 노송나무-배기【마을】갈고개 밑 남쪽에 있는 마을. 노송나무가 있었음. 느르번〔유원, 느릅원〕【마을】노송나무배기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에 원집 느릅원이 있었고 느릅나무가 많았다고도 함. 느르번-고개【고개】느르번에서 동막리로 가는 고개. 느릅-원【마을】→느르번. 느릅원-터(유원터)【밭】느르번 서쪽에 있는 밭으로 느릅원의 터가 있음. 대랑-곡(大郞谷)【마을】→대랑동. 대랑-골【마을】→대랑동. 대랑-리(大郞里)【마을】→대랑동. 뒤-골【골】호명산 서쪽 골짜기로 호명산의 머리와 오른 앞발 사이의 골짜기. 보관-등【산등성이】느르번 앞쪽 산등성이. 불개미-골【골】청고지골 북쪽 골짜기. 산지당-골【골】송이실 서쪽 골짜기. 송이-실【마을】원알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전에 송이가 많이 났다 하며 현 군부대 자리. 요-골【골】소재와 느릅원 사이의 골짜기. 원-알【마을】느릅원터 동남쪽에 있는 마을. 원집 아래가 되며 호랑이 왼쪽 앞발 사이의 마을. 유-원(愉院)【마을】→느르번. 유원-터(愉院-)【터】→느릅원터. 작은 가막-골【골】가막골 위 골짜기. 작은 철메-산【산】불개미골이 있는 작은 산으로 철메산의 북쪽에 있음. 점-골【골】절골 바로 위 서쪽 골짜기로 옹기점이 있었다고 함. 절-골【골】송이실 입구 골짜기. 철메-산【산】송이실 남쪽 산. 청고지-골【골】송이실에서 남쪽 철메산 올라가는 골짜기. 필-봉【산】절골 서쪽 봉우리로 ‘노적봉’이라고도 함. 호명-산【산】호랑이의 형상으로 생긴 산으로 소재에서 보면 엉덩이 부분이고 남쪽을 향하고 있음.

동현-동(東峴洞)

〔동현〕【동현】본래 제천군 현우면(縣右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읍내면(邑內面) 읍부리(邑部里)의 지역이 되었는데, 1946년 동제 실시에 따라 동문외리(東門外里), 입읍현(立泣峴), 백야리(白夜里)를 병합하여 동문외와 입읍현의 이름을 따서 동현동이라 함. 동문-밖〔동문외리〕【마을】동현동에 딸린 마을. 옛 제천성의 동문 밖이 됨. 동현(東峴)【마을】→동현동. 못-답【마을】동현 남쪽에 있는 마을. 못이 있음. 백-배미〔본백, 백야리〕【마을】서울고개 북쪽에 있는 마을. 논 백 배미가 있었음. 백배미-다리〔白夜橋〕【다리】백매미 앞에 있는 다리. 백야-교(白夜橋)【다리】→백배미다리. 백야-리(白夜里)【마을】→백배미. 본-백(本百)【마을】→백배미. 서울-고개1〔立泣峴〕【마을】서울고개 밑에 있는 마을. 서울-고개2〔立泣峴〕【고개】서울고개 남쪽에 있는 고개. 이조 단종(端宗)이 영월로 귀양을 갈 때, 이곳에서 서울 쪽을 돌아보며 눈물을 흘렸다 함. 입읍-현(입읍현)【마을】→서울고개1.

두학-동(頭鶴洞)

〔두학, 두학리〕【동】제천시의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동면(東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상풍리(上風里), 하풍리(下風里), 응동(鷹洞), 유곡리(酉谷里), 부곡리(釜谷里)를 병합하고, 단양군(丹陽郡) 어상천면(魚上川面)의 자작리(自作里) 일부 지역을 편입하여 학들의 머리쪽이 되므로 두학리라 해서 읍내면(邑內面)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제천읍에 편입되면서 자작동(自作洞)과 흑석동(黑石洞)으로 분리됨. 1980년 시승격에 따라 두학동이 됨. <제보자> 沈庭輔(75세) 두학동 664-6번지 T: 642-1435 朴太圭(69세) 두학동 7번지 T: 651-3842 金榮基(66세) 두학동 243번지 T: 642-1459 가마-실【마을】→장침이. 가맛-골【마을】→장침이. 가창-산【산】장치미골북동쪽 장자광업소가 있는 산. 강씨-서당(姜氏書堂)〔박약재〕【고적】두학리에 있는 집. 이조 효종(孝宗) 때 학자 강유(姜瑜)가 공부하였음. 정미 왜란(丁未倭亂) 때 향교의 위패를 모신 일이 있고,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의병 대장(義兵大將) 이강년(李康年)이 전투 기록인 운강창의록(雲崗倡義錄)을 썼다함. 의병란 때 제천 의병대장 의암(毅庵) 유인석(柳麟錫)이 쓴 현판이 걸려 있음. 거믄돌-들〔흑석평〕【들】거믄돌에 있는 들. 괴-골【마을】상풍 동북쪽에 있는 마을과 골짜기. 앞에 괴목이 있음. 김의사-묘(金義士墓)【묘】이의사묘 아래에 있는 의사 김상태(金尙台)의 묘. 다리실-재【고개】맛골 서북쪽에서 제천 읍내로 가는 고개. 지형이 “금계포람형(金鷄抱람形)”이라 함. 돌-미륵【미륵】알미에 있는 돌 미륵. 반절은 파괴되었음. 두학(頭鶴)【마을】→두학동. 두학-리(頭鶴里)【마을】→두학동. 막은-골【마을】학들과 중말 사이의 마을. 막은골-못【못】막은골에 있는 못. 맛-골〔응곡, 매골〕【마을】하풍 서남쪽에 있는 마을. 전에 이곳에서 말을 길렀었다 함. 맛골-구렁【구릉】한천 야산 북쪽구렁부터 아래알미까지 내려오는 들과 구릉지대. 맛골-못【못】맛골에 있는 못. 매-골【마을】→맛골. 바람-부리〔풍취〕【마을】장침이 서북쪽에 있는 마을. 박약-재(博葯齋)【고적】→강씨서당. 부곡-리(釜谷里)【마을】→장침이. 부처-댕이【터】아래알미 서쪽지역을 말함. 상-풍(上風)【마을】→웃바람부리. 설메-산【산】상풍 마을 북동쪽에 있는 산. 승지-골【골】설메산 동쪽 괴골에서 갈라진 작은 골짜기. 싸리재-구렁【구릉】중말 전체 구릉지대를 일컬음. 싸리재-못【못】싸리재 구렁에 있는 못. 싸리재-삼봉【산】중말 남쪽구렁 안에 있는 작은 봉우리. 아래-알미【마을】알미 아래쪽에 있는 마을. 아랫-바람부리〔하풍, 중말〕【마을】바람부터 아래쪽에 있는 마을. 상풍과 학들 사이에 있음. 알-미1〔유곡〕【마을】알미 밑에 있는 마을. 알-미2【산】하풍 서남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알처럼 동그렇게 생김. 알미-고개【고개】제천시내에서 두학동으로 넘어오는 고개. 알미-미륵불상【미륵】알미에 있는 미륵불. 높이 6척. 가슴둘레 3척. 오리-골【골】패봉재 남쪽 골짜기. 웃-바람부리〔상풍〕【마을】바람부리 위쪽에 있는 마을. 웃-알미【마을】알미 위쪽에 있는 마을. 유-곡(酉谷)【마을】→알미. 응-곡(鷹谷)【마을】→맛골. 이의사-묘(李義士墓)【묘】두학 동북쪽 가마골산에 있는 운강(雲岡) 이강년(李康年)의 묘. 이텃-골【골】중말마을 바로 동쪽 골짜기로 상풍과 이어짐. 작은황새-골【골】큰황새골 남쪽 골짜기. 장성-거리[장승거리]【마을】하풍 북쪽에 있는 마을. 앞에 장성이 서 있었음. 장승-거리【마을】→장성거리. 장치미-골【골】가창산 올라가는 동남쪽 골짜기. 장침이(長枕-)〔부곡리, 가마실, 가맛골〕【마을】텃골 동북쪽에 있는 마을. ①앞에 무논이 있음. ②지형이 가마솥처럼 생겼다 함. 장침이-못【못】장침이에 있는 못. 1947년 5월에 고쳐 쌓음. 점-말【마을】화랑터 아래의 마을. 중-말【마을】→아랫바람부리. 천터-골【골】딱바골 밑 북쪽 골짜기. 큰황새-골【골】오리골 남쪽 골짜기. 텃-골【골】장치미 위쪽에서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패봉-재【재】학들에서 중말 넘어오는 작은 고개. 풍-취(風吹)【마을】→바람부리. 하-풍(下風)【마을】→아랫 바람부리. 학-들1〔학평〕【마을】학들 옆에 있는 마을. 학-들2〔학평〕【들】바람부리 서쪽에 있는 들. 전에 교동리의 향교 뒷산에서 학 두 마리가 날아오다가 한 마리는 학다리에 떨어져 죽고, 한 마리는 이 들에 떨어져 죽었다 함. 학-평1(鶴坪)【마을】→학들1. 학-평2(鶴坪)【들】→학들2. 한-내1〔한천〕【마을】한내가 있는 마을. 한-내2〔한천〕【우물】두학리에 있는 우물. 물이 매우 참. 한-천1(寒泉)【마을】→한내1. 한-천2(寒泉)【우물】→한내2. 현-암(玄岩)【바위】상풍 마을 앞 길가에 있는 검은 바위. 바위 위에 현암(玄岩)이라 새겨져 있는데, 400년 전에 거믄돌 마을에 살던 진주 강씨가 새긴 것이라 함. 회냉기-터【터】부처댕이 서쪽을 일컫는 말. 흑석-평【들】→거믄돌 들.

명-동(明洞)

【동】제천시내의 중심지역 남서쪽이며 본래 제천군 현우면(縣右面) 읍부리(邑部里)의 지역으로서, 공동 묘지였던 곳인데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묘를 파내고 그 자리에 마을을 이루어, 1940년 소화정(昭和町)이라 하여 제천읍에 편입되었는데, 1949년 제천읍 동제 실시에 따라 양지쪽이므로 밝다는 뜻으로 명동이라 함. 공동묘지-터【터】현재 동명초등학교 터. 당모루【터】동명초등학교 서쪽 터. 돌서낭-거리【길】명동 어귀에 있는 길. 돌을 쌓아 놓고 서낭신을 모셔 제사를 지냈음. 비석-거리【길】명동 아래에 있는 길. 옛 관행(官行)길로서 제천 현감들의 선정비가 많았음.

영서동(英西洞) (행)

【동】서부동, 영천동, 천남동, 신동을 통합한 지역으로 제천 시내 중앙의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행정동임.

용두-동(龍頭洞) (행)

신월동, 왕암동, 하소동을 통합한 지역으로 제천 시내의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는다. 1980년 제천시로 승격되면서 신월동과 하소동 경계의 용두암을 근거하여 명명된 새로 만들어진 행정동임.

의림-동(義林洞)

〔대화정〕【동】제천시내의 중앙 서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우면(縣右面)의 지역으로서, 읍 서쪽인 서부(西部)에 딸렸다가,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읍내면(邑內面) 읍부리(邑部里)의 지역이 되었는데, 1940년 일제강점하 행정 구역 변경에 따라 대화정(大和町)으로 고쳐 제천읍에 편입되었다가, 1949년 의림지(義林池)의 이름을 따서 의림동이라 함. 간이-비행장【비행장】의림초등학교 서북쪽에 있었으며 한국전쟁시 미군들이 사용했다함. 대화-정(大和町)【마을】→의림동. 마애-석불(磨崖石佛)【고적】의림동에 있는 부처. 바위의 면을 깎아서 부처를 조각하였는데, 높이 7자, 넓이 2자 1치나 됨. 오층-석탑(五層石塔)【탑】구 제천 경찰서 앞에 있는 다섯 층의 석탑. 높이 4자. 봉양면(鳳陽面) 천남리(泉南里) 탑평(塔坪)에서 옮겨 왔었다함.

자작-동(自作洞)

〔자작리, 화랑터〕【동】제천시의 동쪽에 위치하며 본래 단양군 어상천면(魚上川面)의 지역으로서, 1940년 행정 구역 변경에 따라 자작리(自作里)였다가 1987년 자작동으로 됨. <제보자> 尹建鳳(63세) 자작동 38번지 T651-1508 가는-골【골】촛대봉 북서쪽 골짜기. 가마-실【모롱이】화랑터에서 가는골 사이의 산밑과 산등성이. 갑산-재【고개】자작동에서 어상천으로 넘어가는 고개. 두릉-봉【산】웅그리 골짜기의 북서쪽 작은 봉우리. 메동지-봉【산】장자터와 샘골 사이의 북쪽 작은 산. 병풍-산【산】→평풍산. 샘-골【마을】메동지봉 남서쪽의 작은 마을. 안난-산【산】두릉봉 서쪽 아래 작은 산. 약물-내기【골】장자터와 자작동 마을 사이의 골짜기. 어리-산【산】자작동 마을의 서남쪽에 있는 산. 웅그리-골짜기【골】갑산재 바로 밑 북서쪽 골짜기. 자작-리【마을】→자작동. 장자-터【마을】메동지봉 동남쪽의 작은 마을. 중재-골【골】촛대봉 남동쪽 골짜기. 촛대-봉【산】중재골과 가는골 사이의 평풍산 서쪽 앞산. 평풍-산[병풍산]【산】촛대봉 북동쪽 뒷산. 화랑-터【마을】→자작동.

장락-동(長樂洞)

〔정거랭이, 정거룬, 정거여, 장락, 창락, 장락리〕【동】제천시내 중앙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좌면(縣左面)의 지역으로서, 창락사(昌樂寺)가 있었으므로 창락(昌樂), 변하여 장락, 정거룬, 정거여, 정거랭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토구지리(土九之里)를 병합하여 장리라 해서 읍내면(邑內面=제천면)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다시 장락리라 하여 제천읍에 편입되었다가 1980년 시승격에 따라 동으로 승격됨. <제보자> 金賢濟(57세) 고암동 506-7번지 T.647-9204 金琯應(58세) 고암동 535-4번지 T.647-1660 괴목(槐木)【나무】탑안에 있는 느티나무. 구참나무-쟁이【마을】장락 북쪽에 있는 마을. 본래 이곳에 고암리의 참나무쟁이가 있었음. 대-밑〔죽하〕【마을】정거랭이 북쪽 들 건너에 있는 마을. 두고-산1(頭高山)【마을】→두구매1. 두고-산2(頭高山)【산】→두구매2. 두고산-제(頭高山堤)【둑】→두구맷둑. 두구-매1〔토구지리, 두고산1〕【마을】두구매 밑에 있는 마을. 두구-메2〔두고산2〕【산】장락 동남쪽에 있는 산. 두구맷-둑〔두고산제〕【둑】두구매에 있는 둑. 새-동네〔새마실〕【마을】장락 서쪽에 새로 된 마을. 새-마실【마을】→새동네. 석탑(石塔)【탑】장수탑 부근에 있는 석탑. 반파된 것을 1968년에 다시 고쳐 세움. 솔팃-재【고개】장락 동남쪽에서 흑석리 서무니로 가는 고개. 솔이 울창하였음. 안-말〔원장락〕【마을】장락 서남쪽 골짜기 안에 있는 장락리의 원 마을. 원-장락(元長樂)【마을】→안말. 장락(長樂)【마을】→장락동. 장락-들〔장락평〕【들】장락 앞에 있는 들. 장락-리(長樂里)【마을】→장락동. 장락사(長樂寺)【절】1967년에 불사를 일으켜 1971년에 법당을 완공한 최근의 절. 장락-탑(長樂塔)【탑】→장수탑. 장락-평(長樂坪)【들】→장락들. 장수-탑(長壽塔)〔장락탑, 창락탑, 칠충전탑〕【탑】통일신라 시대에 축조된 탑으로 보물 459호로 지정되었으며 높이는 9.1m이고 석재는 회흑색 전판암이다. 1967년 해체 복원 당시 사리공이 나왔으며 당시 금동 편 3점, 금동 불상 1점, 철편 3점, 사리장치 석재 1개가 발견되었다. 칠충 전탑(塼塔)으로 기단이 대리석으로 되어있고 사방에 돌문이 있는데, 전에 도둑이 문을 열다가 탑문이 북쪽으로 기울어졌다 함. 절-골【골】두구메 북동쪽 골짜기. 옛날에는 절이 있었다 함. 절골-못【못】절골 안에 있는 작은 저수지. 정거랭이【마을】→장락동. 정거룬【마을】→장락동. 정거여(停居閭)【마을】→장락동. 죽-하(竹下)【마을】→대밑. 창락(昌樂)【마을】→장락동. 창락사-터(昌樂寺-)【터】탑안 남쪽, 논 가운데에 있는 옛 절터. 창락사가 있었음. 창락-탑(昌樂塔)【탑】→장수탑. 칠층-전탑(七層塼塔)【탑】→장수탑. 탑-안【마을】장락 동쪽에 있는 마을. 장락탑 안쪽이 됨. 토구지-리(土九之里)【마을】→두구매1. 향굣-재【고개】두구매 서쪽에서 교동 향교로 가는 고개.

중앙-동(中央洞)

〔동부, 중앙로 1가?중앙로 2가〕【동】제천시내의 중앙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우면(懸右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제천읍 동쪽이 되므로 동부(東部)라 하여 읍내면(邑內面=제천면) 읍부리(邑部里)에 딸렸다가, 1940년 제천읍의 중심가가 되므로 본정 일정목(本町一丁目)과 이정목(本町 二丁目)이라 고쳐 제천읍에 편입되었는데, 1949년 제천읍 각 동명변경에 따라 본정을 갈라내어 중앙로 1가, 중앙로 2가라 함. 1980년 시승격에 따라 중앙동이 됨. 동부(東部)【마을】→중앙동. 동헌-터(東軒-)【터】중앙로 일가 34번지에 있는 옛 제천군의 동헌 터. 지금은 제일 교회당이 들어섰음. 아뒤-산【산】→애뒤산. 아사-봉【산】→애뒤산. 아후-산(衙後山)【산】→애뒤산. 애뒤-산〔아뒤산, 아사봉, 아후산〕【산】중앙로 이가 서쪽에 있는 산. 옛 제천현의 관아(官衙) 뒤가 되며 현 중앙공원. 연못-터【터】동헌터 동쪽에 있던 연못의 터. 지금은 메워지고, 그 자리에 제천 경찰서 중앙 파출소가 들어섰음. 치헌-터(癡軒-)【터】우체국 근처에 있던 제천군 동헌의 터. 1607년 왜적의 병화로 불에 타서 없어지고, 김 일 손(金馹孫)의 기문만 남아 있음. 중앙로 1가【동】→중앙동. 중아로 2가【동】→중앙동. 현청-터(縣廳-)【터】지금의 제천군 문화원 옆에 있는 터. 제천 현감이 정무를 보던 현청이 있었음.

천남-동(泉南洞)

〔저남, 즈남, 천남, 천남역, 역촌, 역말, 천남리〕【동】제천 시내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근우면(近右面)의 지역임. 의천(義泉:의림지)의 남쪽이 되므로 천남(泉南), 저남, 즈남이라 하며, 또 조선시대에는 역(驛)이 있었으므로 천남역(泉南驛), 역촌, 역말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현우면(縣右面) 하소리(下所里)의 일부 지역을 편입하고, 고지동(古芝洞)과 사리곡리(沙里谷里)를 병합하여 천남리라 하고, 1920년 9월 봉양면에 편입되었다가 1983년 봉양면에서 제천시로 편입됨. <제보자> ?洪鍾九(72세) 제천시 천남동 391번지 T.642-3471 ?張大文(70세) 제천시 천남동 70번지 T.647-9817 고지-골〔고지동, 관동〕【마을】천남리 동남쪽에 있는 마을. 고지-동(古芝洞)【마을】→고지골. 곰바우-웅덩이【못】영천사 남쪽 새 길 난 자리에 있던 못. 관-동(串洞)【마을】→고지골. 까치-섬〔오작도〕【들】사리골 골쪽에 있는 들. 들 가운데에 섬처럼 흙 무더기가 쌓여 있었는데, 갑자사화 때 성종(成宗)의 후궁 정씨(鄭氏)가 낳은 안양군(安陽君)과 봉안군(鳳安君)이 유배왔었다 함. 남산사-터(南山寺-)【터】고지골에 있는 남산사 터. 대각-사(대각사)【절】태리와 뒷골 사이에 있는 절. 뒤-산【산】천남리 뒤쪽에 있는 산. 뒷-골【골】즈남의 뒤에 있는 골짜기. 말-무덤【무덤】즈남 동쪽에 있었던 것으로 말의 무덤이라 하여 큰 묘가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짐. 사리-곡(沙里谷)【마을】→사리골. 사리-골〔사리곡〕【마을】저남 남쪽 장평천 건너에 있는 마을. 산지당-골【골】큰골과 붙어 있으며 돌이 많고 산신당이 있었다 함. 새자-골【들】→새재골. 새-재【고개】저남 동쪽에서 하소동으로 가는 고개. 새로 길을 내면서 낮아졌음. 새재-골〔새자골〕【들】천남리 가장 동쪽에 있는 들로 하소동과 경계지역임. 서낭당이【마을】천남에 있는 마을. 전에 서낭당이 있었음. 성황당【성황당】언골에서 사리골 마을 사이 동쪽에 있음. 신당-교【다리】고지골로 들어오는 하소천 다리. 안-산【산】사리골 남동쪽에 있는 산. 언-골【골】제천정신병원 들어가는 골짜기로 여름에 차가운 바람이 내려온다 함. 여우바우-골【골】사리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역-들【들】천남역 동남쪽에 있는 들. 역-말【마을】→천남동. 역-촌(驛村)【마을】→천남동. 오작-도(烏鵲島)【터】→까치섬. 왕당-골【골】여우바우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산이 왕자(王字)처럼 생겼다 함. 용주-사(龍珠寺)【절】남산사터에 있는 절. 저남【마을】→천남동. 저남-다리〔천남교〕【다리】천남 동쪽에 있는 다리. 저남-들〔천남평, 탑들, 탑평〕【들】저남 앞에 있는 들. 탑이 있었다 함. 제천정신-병원【병원】언골 중턱에 자리잡은 정신요양소. 조차-장(操車場)【마을】천남에 있는 마을. 즈남【마을】→천남동. 징기미-들【들】조차장 지역 들을 예전에 일컫던 명칭. 천남(泉南)【마을】→천남동. 천남-교(泉南橋)【다리】→저남다리. 천남-리(泉南里)【마을】→천남동. 천남-역(泉南驛)【마을】→천남동. 천남역-터(泉南驛-)【터】천남에 있는 역 터. 이조 때 천남역이 있었음. 천남-평(泉南坪)【들】→저남들. 큰-골【골】왕당골 서쪽에 있는 긴 골짜기. 탑-들【들】→저남들.(제천시 하수종말처리장 포함) 탑-평(塔坪)【들】→저남들. 태-리(太里)〔태을리〕【마을】저남 서쪽에 있는 마을. 태을-리(太乙里)【마을】→태리. 하수종말-처리장【관공서】고지골과 장평천 북쪽에 있으며 제천 시내 하수를 처리함. 한찰방-비(韓察訪碑)【비】천남동에 있는 연원찰방(連原察訪) 한석조(韓錫朝)의 비. 행빈-골【골】사리골과 고지골 사이의 작은 골짜기.

청전-동(靑田洞)

〔청전, 청전리〕【동】제천시내의 중앙 북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우면(縣右面)의 지역으로서 청전(靑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상소리(上所里)를 병합하여 청전리라 해서 읍내면(邑內面=제천면)에 편입되고 1940년 제천읍에 편입되었다가 1980년 시승격에 따라 동으로 됨. 감원역-터(坎原驛-)【터】넉고개에 있던 조선시대 연원도찰방(連原道察訪)에 딸린 감원역의 터. 넉-고개〔역고개〕【고개】소곤잇골에서 하소리로 넘어가는 고개. 감원역이 있었음. 대왕-사(大王寺)【절】소근 잇골에 있는 절. 뒷골-밭【골】현대산업개발 아파트 앞 골짜기. 뒷-들〔후평〕【들】청전 앞에 있는 들. 제천읍 뒤쪽이 됨. 뱀-못【못】새터 서쪽에 있는 못. 큰 뱀이 있다고 함. 보리-괭이【논】청전 앞에 있는 논. 보리가 잘 된다 함. 부처-메기【터】시내버스 차고를 이르는 말로 예전에는 돌부처가 있었다함. 사직단-터(社稷壇-)【터】소근이에 있는 제천군의 사직단 터. 상-소리(上所里)〔새터〕【마을】청전 서쪽에 새로 된 마을. 하소리의 소리 위쪽이 됨. 새-터【마을】→상소리. 서낭-당【당】뒷들에 있는 서낭당. 본래 용두산(龍頭山)에 있던 것을 교동의 향교 뒷산으로 옮겼었는데, 현감 최 석 진(崔錫晋)이 이곳으로 옮겼음. 성-봉(星峯)【산】뒷들에 있는 산. 소구니-구렁【마을】→소근잇골. 소근이(素近-, 蘇近-)【마을】→소근잇골. 소근잇-골〔소근이, 소구이구렁〕【마을】새터 남쪽에 있는 마을. 사직단이 있었음. 솔무정【터】현대병원 자리로 얕은 언덕과 여러 그루의 소나무가 있었다함. 솔-방죽【못】새터 북쪽에 있는 방죽. 소나무가 많았음. 여제단-터(?祭壇-)【터】→여지단터. 여지단-터〔여제단터〕【터】성봉에 있는 제천 고을의 여제단 터. 역-고개【고개】→넉고개. 점-비얄1【마을】점비얄 밑에 있는 마을. 점-비얄2【벼랑】청전 앞에 있는 산 벼랑. 밑에 점이 있었다 함. 청구-평(靑邱坪)【들】→청전들. 청전(靑田)【마을】→청전동. 청전-리(靑田里)【마을】→청전동. 청전-들〔청구평〕【들】청전 서쪽에 있는 들. 한질막【터】예전에는 산소공장 자리였고 현재 홈마트 자리를 일컬음. 후-평(後坪)【들】→뒷들.

하소-동(下所洞)

〔하소, 하소리〕【동】제천 시내의 서편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우면(縣右面)의 지역임. 고른이(소리)의 아래가 되므로 하소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일부 지역을 떼어 근우면(近右面) 천남리(泉南里)에 넘겨주고 다시 하소리라 해서 읍내면(邑內面:제천면)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제천읍에 편입됨. 행정명은 용두동이지만 법정명은 1980년 시승격과 함께 하소동으로 개명됨. <제보자> 金南孝(57) 제천시 고암동 청아주택 301호 T.644-0977 고래-아파트【아파트】나뭇재 위쪽에 자리잡은 아파트. 고른【마을】→고른이. 고른이〔소리, 고운이, 고른〕【마을】하소리와 청전리 상소리에 걸쳐 있는 마을 또는 하소동 전체를 일컫는 말. 고운이【마을】→고른이. 나뭇-재【터】큰골 입구 북쪽에 있는 높고 평평한 터로 월림 정씨의 본터였음. 노적-봉【산】뒷골 막바지 올라가는 남쪽 편에 노적처럼 생긴 봉우리. 대승-사【절】뫼봉재 아래에 있는 절. 돈낭-골【골】경찰서 북서쪽 두 번째 골짜기. 뒷골막바지【골】원들에서 작은 거천리의 예비군 훈련장으로 넘어가는 골짜기. 뫼봉-재【산】홍계골 남쪽에 있는 산으로 예전에 봉화가 있었다 함. 바깥-고른〔바깥담〕【마을】고른이의 바깥쪽에 있는 마을 또는 하소동 전체에서 중간지역을 일컫는 말. 바깥-담【마을】→바깥고른. 뱀-산【산】하소동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 산으로 천남동과 경계선에 있음. 옛부터 뱀이 많았다고 하며 현재는 청구아파트 건설로 인해 거의 없어짐. 보-들【들】원들 앞에 보가 있는 곳으로 홍계동 동쪽에 있음. 보통원-터(普通院-)【터】원뜰에 있는 터. 조선시대 원집 보통원이 있었음. 3,4차주공-아파트【아파트】원들과 보들 주위에 자리잡은 아파트. 새자-골〔새재골〕【골】뱀산 바로 북쪽에 있는 골짜기와 들. 새-재【고개】천남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새재-골【골】→새자골. 석동고리【마을】의림여중 정문 근처에 국민주택 지은 곳. 성광-교회【교회】용바위 언덕 위에 자리 잡은 교회. 성황당【성황당】경찰서 서쪽 즉 큰골이 시작하는 입구에 있었다 함. 셋째-담【마을】홍계골 입구에 있으며 세 채의 집이 있었다 함. 소-리(所里)【마을】→고른이. 신당-교【다리】영천동과 경계에 있는 다리로 가장 남쪽에 있음. 안-고른〔안담〕【마을】고른이의 안쪽에 있는 마을 또는 하소동 가장 남쪽 마을을 일컫는 말. 안-담【마을】→안고른. 용두초등-학교【학교】홍계골 입구에 있는 초등학교. 용-바우〔용바위〕【바위】냇가 옆에 있으며 작은 거천리와 하소동 경계에 있는 용처럼 생긴 바위.(4차선 도로 확장으로 인해 중간이 절단됨) 용-바우 모퉁이【터】용바위 주위를 일컫는 말. 용-바위【바위】→용바우. 우견이【골】우견이재 넘어가는 골짜기로 예전에 서부동 우시장으로 소가 많이 넘나들었다 함. 우견이-재【고개】왕암동 아랫소새와 연결된 고개. 원-들(뜰)1【마을】원뜰 옆에 있는 마을. 원-들(뜰)2【들】바깥고른 북쪽에 있는 들. 보통원 터가 있으며 옛날 고을 원님이 쉬어갔다는 말이 전해짐. 원-평(坪)【들】→원들2. 의림여자중-학교【학교】석동고리와 홍계골 입구에 있는 학교. 2차주공-아파트【아파트】안담 벌판 중간에 자리잡은 아파트. 절-골【골】약수터 북동쪽 골짜기에 위치하며 절이 있었는데 한국전쟁 당시 전소되었다 함. 제천-경찰서【경찰서】큰골 입구 남쪽에 세워진 관공서. 징징-바위【바위】나뭇재 아래에 있던 바위. 바위 위에 집이 있었으며 ‘징징울었다’ 하여 유래되었고 도로 확장으로 없어짐. 큰-골【골】경찰서 북서쪽 첫 번째 골짜기. 하-소(下所)【마을】→하소동. 하소-교【다리】용두파출소와 무궁화 예식장을 연결하는 제일 오래된 다리. 하소-리(下所里)【마을】→하소동. 현대-아파트【아파트】우견이골 아래에 자리잡은 아파트. 홍계-골[홍계동]【골】노적봉 남쪽 골짜기로 용두초등학교 서쪽에 있음. 홍계-동【골】→홍계골.

화산-동(花山洞)

〔화산, 화산리〕【동】제천시내 중앙의 남쪽에 위치하며 본래 제천군 현우면(縣右面)의 지역으로서, 화산(花山) 밑이 되므로 화산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서당리(書堂里)와 사천리(沙川里)를 병합하여 화산리라 하여 읍내면(邑內面)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제천읍에 편입되고, 사천리는 떨어져 영천동으로 독립되었다가 1946년 동제 실시에 따라 동으로 됨. 갈마-골〔갈매골, 갈마동〕【골】갈매에 있는 골짜기. 갈마-동(渴馬洞)【골】→갈마골. 갈-매【산】→남산2. 갈매-골【골】→갈마골. 갈-제(葛堤)【둑】갈매에 있는 둑. 갈-티(葛峙)【고개】갈매에 있는 고개. 곰배-산【산】→남산2. 곶-매【산】→남산2. 남-당(南塘)【못】남당서원 터에 있던 못. 연꽃이 무성하였음. 남당서원-터(南塘書院-)【터】남당에 있던 서원 터. 선조(宣祖) 13년(1580)에 창건하여 퇴계(退溪) 이 황(李滉), 상곡(商谷) 강 유(姜瑜)를 배향하였는데, 고종(高宗) 8년(1871)에 헐림. 남-산1(南山)【산】화산리 남쪽에 있는 산. 1895년 5월 15일 처음으로 의병을 일으킨 의암(毅庵) 유 인 석(柳麟錫)은 다음해 2월 26일 제천읍 영천동(榮川洞) 고장 숲에서 왜군을 격파하고, 4월 12일 이곳에 진을 치고 왜적과 격전을 벌이고 있을 때, 겁이 난 의병들이 모두 물러갔으나, 중군장 안 승 우(安承禹)가 전사하자 19살 난 홍 사 구(洪思九)는 끝까지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 하였음. 남-산2(南山)〔곰배산, 화산, 갈매, 곶매〕【산】제천읍의 남쪽에 있는 산. 지형이 고무래 정자(丁字)처럼 생겼다 함. 동방-제(東方堤)【둑】남당못을 쌓았던 둑. 1940년 중앙선 철도 부설 때 매몰되었음. 병막-골【골】화산에 있는 골짜기. 30년 전 이곳에 막을 치고 전염병 환자를 격리시켰었다함. 서당-골【마을】원화산 서남쪽에 있는 마을. 앞에 남당서원이 있었음. 여우-고개【고개】화산 동쪽 동현동으로 가는 고개. 옛날에 여우가 잘 나타났었다 함. 유실-골(有實-)【마을】→유실구랭이. 유실-구랭이〔유실골〕【마을】화산 동쪽에 있는 마을. 30년 전 명동에 살던 최씨가 이곳으로 옮겨와 살면서 농사가 잘 되었다 함. 원-화산(元花山)【마을】화산리의 원 마을. 칠의사-묘〔칠의사총〕【묘】남산에 있는 일곱 의사(義士)의 합장 묘. 고종(高宗) 때 의병 대장 의암(毅庵) 유인석(柳麟錫)의 지휘 아래 왜적과 싸우다가, 백운면 박달재에서 잡힌 일곱 사람 곧, 김용이(金用伊), 우규하(禹圭夏), 추성손(秋聖孫), 박원용(朴元用), 김재관(金在觀), 우재봉(禹在鳳), 오원룡(吳元龍)을 일본 관헌이 제천읍 영천동으로 끌고 갔다가, 1895년 2월 26일에 죽이고 시체에 기름을 부어 태운 후 이곳에 합장하였음. 칠의사-총(七義士塚)【묘】→칠의사묘. 화-산1(花山)【마을】→화산동. 화-산2(花山)【산】→남산2. 화산-교(花山橋)【다리】화산 서쪽에 있는 다리. 길이 31m, 너비 25m. 1966년 9월 15일에 놓음. 화산-리(花山里)【마을】→화산동.

흑석-동(黑石洞)

〔거믄돌, 흑석, 흑석리〕【동】제천시의 동북쪽에 위치하며 서문리를 포함한다. 본래 제천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검은 빛깔의 돌이 많으므로 거믄돌 또는 흑석(黑石)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송티리(松峙里)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흑석리라 해서 읍내면(邑內面:제천면)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제천읍에 편입되었다. 1980년 제천시의 법정동이 됨. <제보자> 李壽亨(75세) 제천시 흑석동 373-6번지 T.647-0514 劉龍奉(78세) 제천시 흑석동 436번지 T.643-6217 朴壽興(61세) 제천시 흑석동 121번지 T.642-1506 거믄-돌1【바위】→흑석. 거믄-돌2【마을】→흑석동. 곡-말【골】욍골의 북쪽 골짜기. 공동묘지-구렁【구릉】지실 골짜기에 있으며 세하의 집 바로 북동쪽에 있음. 당-골【마을】지실못 개울 건너 맞은편 서쪽에 있는 마을. 도둑밭-골【골】숲거리에서 개울 건너 서쪽 작은 골짜기. 독-골【골】분토골 바로 남쪽 골짜기. 두구메-재【고개】당골과 메봉산 사이에 있으며 장락동으로 이어짐. 둔전-골【골】질메재의 남쪽 골짜기. 뒷-골【골】개울 서쪽 분토골 맞은편 골짜기. 딱바-골【골】지실 골짜기의 최하류에 있는 골짜기. 메봉-산【산】장락동과 경계되는 산으로 두구메재 남쪽에 있음. 분토-골【골】서문리의 개울 상류 동북쪽 골짜기. 새터-마을【마을】두학초등학교 바로 북쪽마을. 서당-골【골】아랫말 바로 남쪽에 있는 골짜기. 서문-리【마을】흑석동의 북쪽 전체의 통칭. 솔치-재【고개】질메재 남쪽에 있으며 장락동으로 이어짐. 숲-거리【들】흑석에서 서문리로 들어오는 입구로 예전에는 숲이 많이 우거져 있었다함. 아랫뒷-골【골】뒷골 바로 아래 작은 골짜기. 아랫-말【마을】조각동마을 개울 건너 서쪽에 있는 마을. 오-석(烏石)【바위】→흑석1. 욍-골【골】숲거리 북쪽 골짜기. 장승-골【골】솔치재에서 북쪽으로 난 작은 골짜기. 장터버든【골】지실 골짜기 세류이며 동북쪽의 작은 골짜기. 절-골【못】지실 골짜기의 세류로 가장 북쪽에 있으며 예전에 절이 있었다함. 조각동-마을【마을】새터마을 북쪽 골짜기의 마을. 지실-골짜기【골】세하의 집이 있는 골짜기의 통칭. 지실-못【못】지실 골짜기를 막은 인공 연못. 질메-재【고개】솔치재 북쪽 둔전골짜기의 능선으로 장락동과 이어짐. 충동-골【골】조각동과 지실 골짜기 사이의 작은 골짜기. 표숙-골【골】메봉산 남쪽골짜기. 행자막-골【골】지실 골짜기의 세류로 세하의 집 남쪽 작은 골짜기. 흑석(黑石)1〔오석(烏石), 거믄돌1〕【바위】흑석동에 있는 바위. 흑석(黑石)2【마을】→흑석동. 흑석-리(黑石里)【마을】→흑석동.


담당자정보

부서
문화예술과
전화번호
043-641-5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