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아 (Bacteria)
엽록소가 없으며 용해된 유기물질을 섭취하며 0.8 - 5.0 μ 정도의 크기이다. 경험적으로 C5H7O2N 의 분자식을 가졌다. 80%의 h3O, 20%의 고형물질로 되어 있으며 이 고형물질 중 C:53%, O:29%, N:12%, H:6% 이며, 무기질은 P2O5 :50%, K2O:9%, Na2O:11%, MgO:8%, CaO:9%, SO3 :15%, FecCl:1% 로 되어 있으므로 폐수처리시 상기물질이 충분하도록 해야 한다.
반송수 (Sidestreams)
수처리시설로 되돌려 보내지는 반류수로 슬러지의 각 처리과정에서 생기는 농축조 상등액, 소화조 상등액, 세정액, 탈리액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반송슬러지 (Return sludge)
활성슬러지법에 있어서 최초침전지와 최종침전지에서 침강한 활성 슬러지의 일부를 빼내어 다시 폭기조로 반송하는 오니를 말하며, 유입하는 생하수에 혼합시켜 식종용으로 이용된다. 반송률은 부유물질이 높은 하수에서 25% 정도 낮은 하수에서 5 - 10%, 보통은 10 - 15% 정도이다.
방류수
베이신 또는 처리장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부분적 또는 완전히 처리된 하수나 또는 다른 액체
부유물질 (Suspended solid)
SS라고 하며, 하수중 중력으로 가라앉지 않은 고체물질로서 부유고형물을 말한다.
벌킹 (Bulking)
벌킹은 슬러지가 너무 가볍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침전되지 않고 수면으로 떠오르는 현상을 말하여 2차침전지에서 일어난다.
분류식 하수도 (Separate sewer system )
우수와 오수를 분리하여 배제하는 하수도
불명수
계곡수, 지하수, 상수도물 등이 차집관로로 유입되는 물
불완전분류식 하수도
우수와 오수를 분리하여 배제하는 하수도로서 오수는 오수관거에 의해 하수처리시설로 배제하여 처리하고, 우수의 경우에는 기존의 자연배수로나 측구 등을 최대한 이용하여 배제하고, 기존 배수로가 없는 경우에만 우수관거를 매설하여 우수를 배제하는 방식이다.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이라고 하며, 수중의 유기물질이 안정화 될 때까지 소비된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mg/ℓ, ppm 으로 표시한 것이다. 수중에 함유하고 있는 분해 가능한 유기물이 일정조건하에서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고 안정화될 때 소비하는 산소량을 말하고 20℃에서 5일간 배양시 소비하는 산소량으로 나타낸다.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중 하나로 값이 적을수록 수질오염이 낮고 깨끗한 물이다.
BOD 제거율 (biochemical oxygen demand remove efficiency)
하수처리시설에 있어서 유입수 중의 제거된 BOD로 나눈 것이다.
즉, (유입수 BOD - 방류수 BOD) / 유입수 BOD 로서 통상 이 값을 %로 나타낸다. 식물이나 유기체에 생명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물질, 주된 사양분은 C, H, O, S, N, P 이다. N, P 은 수용성이며 순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재래식 취급공정으로는 하수로부터 제거하기 힘들다.
산 (Acid)
식물이나 유기체에 생명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물질이다. 주된 사양분은 C, H, O, S, N, P 이다. N, P 은 수용성이며 순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재래식 취급 공정으로는 하수로부터 제거하기 힘들다.
산화 (Oxidation)
산소와 결합하거나 수소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말하며, 광의로는 전자가 떨어져 나가는 것이다.
상수 (Potable Water)
마시기에 적합한 양질의 물을 말하며, 식용수 외에 요리, 세탁, 목욕물 등의 사용이나, 소화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징액
현탁액을 침전시킬 경우 저부에는 슬러지가 가라앉고 상부에는 비교적 맑은 물이 층을 이루게 되는데 상부의 액체를 말한다. 이것은 보통 침전이 행해지는 농축조, 세정조, 소화조 상부의 액체이다.
생하수
어떠한 처리도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하수를 말한다.
생하수펌프장
유입 하수량을 조절하고 처리과정에 필요한 수두를 얻기 위하여 하수를 가압 송수하는 시설
소화 (Digestion)
미생물이 오수중의 유기화합물을 영양원으로 하여 섭취하여 생장, 증식하면서 물, 탄산가스, 암모니아, 메탄 등의 무기화합물을 방출하여 정화작용을 행하는 현상을 말한다. 하수처리에는 호기성 소화와 혐기성 소화의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소화가스
혐기성 소화조에서 하수 슬러지 중의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발생하는 가스이며 메탄이 60 - 70%, 탄산가스 30 - 40%, 그 밖의 질소, 수소, 황화수소를 포함한다.
소화조 (Bacteria)
슬러지중 생물 또는 유기물질을 혐기성 또는 호기성 미생물의 작용으로 가스화, 액화, 무기화하여 안정화, 감량화시키는 곳이다.
소화슬러지 (Digested Sludge)
소화조에서 슬러지 중의 유기물이 분해되고 안정화 된 슬러지를 말한다.
수질 (Water quality)
수중에 함유된 유기물질, 무기물질 등의 불순물에 의해 어떤 목적에 대하여 질적 및 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물의 성질을 말한다. 수도법 및 하수도법 에서는 각각 수질기준을 규정하고 수질의 보전을 꾀하고 있다.
스컴 (Scum)
침전지, 슬러지 저류조, 소화조 등의 수면에 부상하여 모인 유지, 섬유, 고형물 등을 말한다.
스크린 (Screen)
점도가 큰 부유물이나 혹은 부상물을 제거하는 전 처리공정으로서 펌프의 고장이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뒤에 있는 처리공정에서의 부하를 경감시켜주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망과 같은 시설이다.
슬러지 (Sludge)
개천의 밑바닥이나 또는 수중의 다른 물체들이 흐르거나 또는 침전하는 동안에 액체로부터 분리되어진 침전가능한 고체물질
COD (Chemicla Oxygen Demand)
화학적산소요구량이며, 배수중의 피산화성물질, 주로 유기물에 의해서 소비되는 산소의 양을 ppm으로 표시한 것이다. 유입하수나 처리수 등을 100℃에서 30분간 KMnO4 용액과 반응시켰을 때 소비된 과망간산칼륨량으로부터 수중 오염물질이 화학적으로 산화, 분해되어 안정화하는데 필요한 산소량, 수질오염의 지표가 되는 것의 하나로 값이 작을수록 수질오염이 낮고 깨끗한 물이다.
SA (Sludge Age)
활성슬러지의 일령을 말하며, BOD를 산화하는데 필요한 외관상의 일수
SDI (Sludge Density Index)
슬러지밀도지표를 말하며, 활성슬러지의 응집성의 좋고 나쁨을 판별한다.
SV (Sludge Volume)
포기액을 30분간 정치해 둘 때 1g의 활성슬러지가 차지하는 용적을 말한다.
SVI (Sludge Volume Index)
슬러지용량지표를 말하며, 활성슬러지의 응집성의 좋고 나쁨을 판별한다.
알칼리 (Alkali)
용해되어 하이드록실 이온(OH - )을 내는 물질로 산과 중화하여 물(H 2 O)로 된다.
알칼리도 (Alkalinity)
알칼리와는 달리 산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능력
암거 (Culvert)
지중에 매설한 관거 또는 밀폐용 덮개가 있는 것을 말한다.
암모니아성질소 (Ammonia nitrogen)
유기성 질소는 생체나 분뇨의 중요한 구성요소의 하나이지만 이것이 분해하여 무기화 될 경우 산화가 일어나는 초기의 것으로써 암모니아성 질소를 발생한다. 따라서 물중에 암모니아성 질소를 함유할 때에는 그 물은 비교적 오래되지 않은 분뇨나 하수, 공장폐수 등이 혼입되는 것으로써 물의 오염을 측정하는 지표가 된다. 일반적으로 NH 3 -N으로 표기한다.
염소접촉지
2차침전지에서 상등액이 방류되면 여기에 염소를 투입시켜 물속에 번식하는 각종 세균을 죽여(살균) 물을 소독하는 곳이다.
오수
일반가정, 사무소, 사업장(경작사업은 제외), 공장 등에서 생활, 영업 및 생산활동에 의한 폐수를 말한다.
우수토실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 어떤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에 수송하고 나머지 하수를 하천 등의 수역으로 방류하기 위한 웨어 등의 시설
2차침전지
폭기조에서 일정시간 체류한 활성슬러지를 받아 혼합액을 침전 · 불리시켜, 상등액과 활성슬러지를 분리시키는 곳으로 상등액(처리수)을 공공수역으로 방류하는 시설. 1차침전지는 SS를 제거하고 2차침전지는 주로 BOD를 제거한다.
잉여슬러지
최종침전지에서 침전에 의하여 생긴 슬러지중 재이용되는 반송오니의 나머지 슬러지를 말하며 제거하여 최종적인 슬러지 처리가 행해진다. 과잉슬러지라고도 한다.
차집관거(Intercepting sewer)
합류식에서 청천시의 하수나 우천시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수송하기 위한 관거
체류시간 (Detention Time)
주어진 흐름에서 일정공간(탱크)에 가득 채워지는데 요하는 시간 또는 주어진 하수의 흐름으로써 통과하는데 요하는 이론적인 시간으로써 탱크의 부피(㎥)를 유량(㎥/hr)으로 나눈값이 주어진다.
침전법 (Sedimentation method)
원수중의 현탁물질을 침전에 의하여 제거하는 방법을 말하며, 보통 침전법과 응집침전법이 있다.
침전시간 (Setting time)
침전에 요하는 시간을 말하며, 길수록 BOD, SS의 제거율이 증가하지만 증가비율은 시간과 함께 저하한다. 지나치게 하수의 부패를 초래하며 후의 처리에 지장이 된다. 최초침전지의 침전시간은 1일 최대 오수량에 대하여 분류식에서는 살수여상법에서 2시간, 활성오니법에서 1.5시간, 합류식에서는 양자 모두 3시간, 최종침전지에서 2.5시간 정도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침출수 (Leachate)
매립지 등 최종 처분장에서 처분된 슬러지나 그 밖의 폐기물로부터 침출되어 나오는 오수
침사지 (Grit Chamber)
하수 중의 돌 조각, 모래 등 비중이 물보다 큰 물질을 침전시켜 펌프, 송수관 등의 파손이나 고장등을 방지하고 포기조, 오니탱크 등의 원활한 운전을 위하며 직경 0.2mm이상의 토사분이나 대형 부유물을 제거하는 곳이다.
최초침전지(Primary Setting Tank)
하수 중의 침강성이 있는 고형물을 제거하고 슬러지를 농축시키며, 부상 부유물을 분리하는 곳, 1차침전지라고도 한다. 통상 BOD와 SS를 제거한다. 제거율은 SS는 60%, BOD는 30%정도이다.
하수 (Sewage)
상수에 대한 반대어로서 빗물이나 집에서 쓰다 버린 더러운 물로서 상수가 어떤 목적에 사용된 후 오염되어 버려지는 물, 인간의 생활이나 사업으로 인해서 또는 이에 부속해서 발생하는 오수와 자연강우에 의한 우수를 말한다.
합류식하수도 (Combined system of sewage)
오수와 우수를 동일한 관로로 배제하는 방식의 하수도를 말한다. 처리장까지의 도중에 빗물 배출실을 설치하고, 빗물에 의한 유량이 오수 유량의 2 - 3배로 될 때 하수를 하천이나 바다로 방류하도록 되어 있다.
합성세제오염 (Synthetic detergent pollution)
합성세제는 석유를 원료로 해서 만드는 세제로 비누를 제외한 모든 세제는 여기에 포함되며 수질오염을 가져오는 화학물질인 인산염이 다량 함유되어 있따. 합성세제는 비누처럼 쉽게 분해되지 않고 강이나 바다로 흘러가 부영양화를 일으킨다.
혐기성 박테리아 (Anaerobic Bacteria)
유리산소나 용존산소가 들어있지 않는 환경에서 생존하고 번식하는 박테리아, 혐기성 박테리아는 황산기와 같이 산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질을 분해하여 그들의 산소공급을 얻는다.
혐기성소화법
수중 조건에 있어서 유리산소(포기 전에 이미 녹아있는 산소) 또는 용존산소가 존재하는 상태
호기성 (Aerobic)
수중 조건에 있어서 유리산소(포기 전에 이미 녹아있는 산소) 또는 용존산소가 존재하는 상태
호기성 박테리아 (Aerobic Bacteria)
대기 중 산소 또는 물에 용해된 산소처럼 박테리아가 호흡하는데 이용되는 산소를 포함하는 환경에서만 단지 살 수 있고 번식할 수 있는 박테리아. 주의할 것은 화합물 중의 산소는 호흡에 이용될 수 없고 단지 단체인 산소만이 이용된다.
활성슬러지 (Activated Sludge)
하수를 포기시켜 흡착성과 침전성을 갖게 한 슬러지를 말하며,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하여 번식하는 호기성세균, 원생동물, 편충 등의 생물 및 유기, 무기의 비생물성 슬러지의 집합체로써 하수에 대한 정화기능이 높다. 또 활성슬러지법은 활성슬러지를 이용하여 하수를 처리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