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친환경농업개요

인쇄 전자점자 미리보기 전자점자 내려받기

친환경농업이란?

유기농업은 화학비료,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는 농업 저투입농업은 병해충 종합관리로 농약사용량을 절감하고, 작물양분 종합관리로 화학비료 사용량을 절감하는 농업

땅(흙)과 병해충을 진단하여 드립니다.

  • 센터에서는 토양종합검정을 위한 친환경토양분석실과 병해충 예찰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토양개량과 작물별 알맞은 시비량을 처방해주며 병해충의 발생조사와 방제요령에 대한 상담도 해주고 있습니다.

유기질비료는 최대한 확보하고 화학비료는 알맞게 씁니다.

  • 퇴비를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알맞게 쓰면 부족되는 화학비료를 40%까지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축산분뇨를 액비화 하여 사용하는 것도 자연순환 농업을 이루는 길입니다.

친환경농업 실천의 기본은 땅의 지력증진입니다.

볏짚,보리짚 등 부산물을 최대한 논에 되돌려 줍시다.

  • 탈곡시 볏짚을 2~3등분 절단하여 논에 주고 가을 깊이갈이 실시
  • 잘 썩은 퇴비를 주면 완전미 비율이 높아집니다.

녹비작물을 재배하면 일석삼조 효과

  • 유기질비료, 밀원, 경관조성
  • ※ 헤어리뱃치, 자운영 등 재배확대

농약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올바르게 사용합니다.

  • 병해충에 강한 품종을 심음배기를 적당하게 하고 땅심을 높이는 등 재배환경을 개선하면 병해충 발생이 줄어듭니다.
  • 병충망시설, 비가림재배등 물리적 방법과 천적이나 성페로몬을 이용하는 생물적 방제법도 이용
  • 꼭 필요한 경우에도 농약안전사용 기준을 준수하여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 하도록 합시다.

벼농사 실천방안

화학비료 사용 줄이기
  • 밑거름 줄때 1필지에 복합비료 1포 덜주기 : 5포 → 4포/40a(1,200평)
  • 완효성비료 시용을 늘려서 비료 20% 절감
  • 새끼칠거름 알맞게 주기
  • 헛새끼칠때 이음거름 안주기
  • 이삭거름은 알맞게 알거름은 주지 맙시다.
합성농약 사용 줄이기

관행 3~4회 방제 → 2회 방제

  • - 모낼 때 상자처리 : 잎도열병(병) + 벼물바구미(해충) 동시방제
  • - 8월상순 본논방제 : 이삭도열병 + 잎집무늬마름병 +벼멸구
  • ※ 약효가 긴 농약을 선택해야함

모내는 날 상자에 농약을 뿌려 모를 내면

  • - 농약사용량과 방제 노력이 줄어듬(40%)
  • - 뿌리 가까이 뿌려져 잘 흡수 이용하게 됨
  • - 너무 일찍 모를 내면 병해충과 잡초 발생이 많아집니다.

채소농사 실천방안

화학비료 사용 줄이기

토양검정 적정시비 : 10% 절감

  • 시설재배는 3년만에도 양분이 쌓임
  • 연작장해 포장 물가두기
  • 새 흙으로 객토하기

퇴비를 많이 주어 비료 5% 대체

관비재배로 화학비료 10% 절감

  • 저농도 관비재해, 주문비료 사용

합성농약 사용 줄이기

배수개선,멀칭,높은 이랑재배는 병 발생이 줄어듭니다.

  • 노지고추 25~30cm 높은 이랑재배
  • 멀칭, 저습지 배수로 병 발생 경감

시설재배에는 천적, 성페로몬 등 생물학적 방제법을 도입합시다.

  • 칠레이리응애, 진디벌, 애꽃노린재 등
  • 성페로몬, 끈끈이 트랩 등
합성농약 사용 줄이기

병해충종합관리(IPM)방제력 실천

  • 사과: 15 → 10 ~ 12회 방제
  • 감귤: 12 → 7회 방제
  • 성페로몬이요 발생예찰 및 방제: 나방류, 나무좀
  • 기계유유제, 석회유황합제 살포
  • 초생재배로 토양병해 방지 및 천적상 회복, 응애발생 감축

가축분뇨, 산업폐수 등은 정화하여 토양과 수질오염을 막읍시다.

  • 축산규모가 대형화 함에 따라 가축분뇨 발생량이 증가합니다.
  • 가축분뇨를 퇴비화하여 사용하면 화학비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수경재배지,축산단지는 지하수 오염우려가 많으므로 정화하여 방류합시다.

비닐, 플라스틱 용기, 농약병은 함부로 버리지 맙시다.

  • 마을별로 잘 모아 자원재생공사를 통하여 수거토록 합시다.

담당자정보

부서
농업정책과
전화번호
043-641-6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