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시보는 의병인물

인쇄

권용일 사진

권 용 일(權用佾, 1884-1971)

자는 경로(敬魯), 호는 청은(淸隱), 본관은 안동이다. 제천의 한수면 덕곡리 딱박골에서 농부인 태인(泰仁)의 아들로 태어났다. 18세가 되던 해에 마을 이장일을 보았는데 청풍의 일본군 헌병 주재소에서 할당하는 마초(馬草)의 감면을 요구하다가 질책을 받자 헌병들을 구타하고 주재소에 불을 지르고 도망쳤다. 이후 행상을 하다가 해산 후, 의병을 일으킨 이강년을 만나 의진에 투신하게 되었으며, 천남전투 이래 크고 작은 전투에서 주로 우군장 이중봉의 휘하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하였다.

특히 그는 의병 봉기 당시에 원주진위대에서 얻어 배향산에 숨겨둔 탄약을 의진에 성공적으로 공급하는데 공을 세워 의진이 전투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로를 세웠다. 그러나 12월의 영춘 복상골전투에서 패한 후, 이강년이 주력을 이끌고 북상할 때에 권용일은 동참하지 못하였다.

그 대신 백남규 등과 함께 이듬해 봄까지 소백산 일대에서 항전을 계속하였으며, 이강년이 다시 남하하자 병력을 합쳐 경북 북부지역인 서벽, 재산 등에서 전공을 세웠다.

이강년이 체포된 후에는 상경하여 재판중이던 이강년을 시중들었다. 이후 이 지역 의병의 기세가 크게 꺾이자, 수배를 피하여 은둔하였다. 후에 전 승지 김규흥(金圭興)과 이범구(李範九), 김규철(金奎喆)등과 함께 중국의 원세개에게 보내는 고종의 편지를 가지고 출국하다가 도중에 발각되어 동지들이 체포되자 정경로(鄭敬老)라는 가명에 산삼 상인으로 가장하여 인천에서 소금 배를 타고 중국 망명길로 올랐다.

이후 이국 땅에서 유랑생활을 하던 권용일은 상해에 임시정부가 조직되자 이에 가담하여, 7년 동안 임시정부와 만주 독립운동가 사이에 연락책을 맡았다.

후에 몰래 귀국하여 고난의 은둔생활을 하였으며, 해방 후에는 충주에 살고 있던 옛 동지 백남규와 왕래하면서 만년을 보냈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 3월 1일 건국훈장 국민장을 수여하였다.

인물사진 없음

김 규 철(金奎喆, 1881-1929)

호는 비장(飛將), 본관은 청풍이다. 단양군 영춘면 보발리에서 출생하여 제천군 수산면 도전리로 이주하였다. 일찍이 궁내부 주사(宮內部 主事)를 지낸바 있던 김규철은 1907년 고종황제의 강제 퇴위와 군대해산을 계기로 청풍지역에서 조동교, 신기영(申基永)등과 의병을 일으키고 의진의 중군장을 맡아 단양과 금수산(錦繡山)을 기점으로 제천, 청풍, 단양, 충주 등지에서 활동하였다고 한다.

이강년 의진에 참여하여 1907년 음력 9월 죽령지역에서 4백여 명을 인솔하고 일본군과 접전을 벌여 5차례의 전투를 승전으로 이끌었고, 철원 싸움에서도 대승을 하였다고 한다. 그 해 11월에 일시 체포되었으나 탈주하였으며, 이듬히 봄에도 체포와 탈주를 거듭하였다.

여름에 청풍 작성산전투에서 이강년 의진이 흩어지자 잔여 세력을 규합하여 제천지역을 중심으로 줄기찬 항쟁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부하들이나 일본군이 '날아다니는 장수( 飛將)'로 불렸을 만큼 신출귀몰한 기동력으로 전투 때마다 용맹을 떨쳤다고 한다.

3.1운동 이후 중국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조직적인 독립 활동이 시작되자 김규철은 국내에서 군자금을 모집하였고, 이를 독립군에게 전하기 위하여 1922년 상해 임시정부로 향하였다. 그러나 인천항에서 일본경찰에게 체포되어 2년간 구류되었다가 서울에서 재판을 받고 함흥형무소에서 5년간의 옥고를 치렀고, 이후 집으로 돌아와 이강년의 전투기록을 간행하는데 정성을 들였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김규철의 공을 기리기 위하여 1977년에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

인물사진 없음

김 백 선(金伯善, 1873 ~ 1896)

경기도 지평(현 경기도 양평군 양동 금왕리)에 살던 포군이다. 1894년의 농민전쟁 때에 맹영재가 조직한 포수부대에 참여하여 이를 진압할 때에 공을 세워 조정에까지 이름이 알려지고 절충장군의 첩지를 받았다. 단발령이 내려지자 김백선은 맹영재에게 의병을 일으킬 것을 요구하였다. 맹영재가 이를 거부하여 울분을 참지 못하던 중, 동향의 이춘영이 의병을 일으키자고 제의하자 적극호응하여 동료 수백 명을 가담시켰다. 안창에서 봉기한 후, 이필희 의진의 선봉장으로서 충주성전투나 가흥전투 등에서 공을 세웠다. 그러나 평민장수로서 유생중심의 지휘부와 불화가 적지 않았던 것 같다.

작전이나 투쟁방식 등을 둘러싼 갈등은 김백선으로 하여금 독립적인 투쟁을 고려하도록 하였던 것 같다. 그는 1896년 2월이 가흥전투에서 다른 의병부대와 연합하에 전개된 가흥공격에서 적극적으로 협조하지 않았으며, 이후 가흥작전에 다시 나서면서 추가로 병력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하였다가 거부당하였다. 결국 김백선은 가흥작전의 실패 후, 대장 앞에서 칼을 빼어 들고 항의하다가 군령위반죄로 처형당하였다.

후에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기리어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김상태 사진

김 상 태(金尙台, 1884 ~ 1971)

본명은 김상호(金尙鎬)이며, 자는 경륙(景六), 호는 백우(白愚)이고 본관은 삼척이다. 영춘의 남천리에서 규병(奎丙)의 아들로 태어났다. 장성하여 영월의 옥동으로 이주하였는데, 을미의병 때부터 이강년과 함께 활동했고, 호좌의진이 북상한 이후 유인석을 쫓아 3년간 가르침을 받았으며, 백두산 주변과 무송. 임강 등지에서 의병활동을 하였다고 한다. 귀국하여 남천에서 후학을 가르치던 김상태는 1905년 정운경의 봉기에도 참여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907년의 고종퇴위와 군대해산에 즈음하여 원주진위대가 봉기하자 그 무기를 얻고, 사군의 병력을 모아 이강년을 대장으로 추대하고 그 자신 중군이 되어 의병전쟁에 투신하였다. 이후 김상태는 갈평. 영월. 죽령전투 등에서 지휘하여 전공을 세웠다. 그러나 그 해 말에 복상골전투에서 패전한 이래 본진과 분리되었다.

이강년이 북상한 동안 남쪽에 남았다가, 이듬해 이강년의 본진과 분리되어 소백산 일대에서 활동하였으며, 이강년이 체포된 후에는 호좌의진을 재건하여 1911년 여름에 이르기까지 태백. 소백산 일대에서 활동하면서 친일분자를 처단하고 일본군을 공격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김상태는 결국 1911년 여름에 그 자신의 종사였다가 일제의 회유에 넘어간 우정응 등에게 속아 순홍군 석천포(풍기군 단산면 광암리)에서 체포되고 말았다. 징역 3년형을 선고 받은 김상태는 대구형무소에 이감되자 아들 원기(源基)에게 '두학 장치미에 있는 이강년의 무덤 곁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단식한 지 13일 만에 순절하였다. 이후 김상태는 이강년의 무덤 아래 묻혀 제천지역 유림들로부터 춘추향사(春秋享祀)되어 왔으나, 이강년의 무덤이 문경으로 이장된 후 홀로 모셔지다가, 1984년 11월에 제천시의 '의병묘역성역화계획'에 의해 고암동 애국열사묘역에 안장되었다.

정부에서는 김상태의 공을 기리어 1963년에 건국훈장 국민장을 추서하였다.

백남규 사진

백 남 규(白南奎, 1884 ~ 1970)

본호는 운암(雲庵), 본관은 수원이다. 충주의 금가면 월상리에서 농부인 낙성(樂成)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운 센 장사였던 그는 17세 때에 무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인의 길을 걸었다. 안동분견대의 부위(副尉)로 있다가 부대를 이탈하여 의병봉기를 도모하고 있던 이강년에게 의탁하여 의병에 투신하였다. 이후 1907년 고종의 퇴위와 군대해산 등으로 촉발된 정미의병기에 백남규는 이강년 부대의 우선봉, 또는 도선봉으로서 천남. 갈평.영월.싸리재전투 등에서 용맹을 떨쳤다. 그는 신식 군사교육을 받은 핵심 간부의 하나로서 중요한 전투마다 활약을 하였는데, 전하는 말에 의하면, 항상 육혈포를 지니고 있으면서 사살한 일본군의 귀를 잘라 꿰어 말에 달고 돌아오곤 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 해 말 일본군의 집요한 공세에 밀려 이강년 부대가 복상골전투에서 치명적 피해를 입게 되었다. 그 후, 본진은 북상하게 되었는데, 백남규는 여기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대신 남쪽에 남아 영남과 호서 사이에서 병력을 모았고, 이듬해 봄에 다시 남하한 이강년의 본진과 합쳐 서벽.재산지구의 전투에서 일본군을 물리쳤다.

이강년이 일본군에 체포된 후, 백남규는 일정한 병력을 이끌고 독자적인 활동을 지속하였다. 그러나 1909년 12월에 일제에 체포되어 10년형을 받고 8년간에 걸친 옥살이를 하였다. 특사로 풀려난 후, 단양 일대에서 재기를 도모하다가 여의치 않자 중국의 상해로 가려고 하다가 1917년 2월에 음성 개회실에서 재차 피검되었고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무기형으로 감형되었으며, 이후 15년간 옥살이를 하였다. 정부는 1963년에 대한민국 건국훈장(단장)을 수여하였다.

서상렬 사진

서 상 렬(徐相烈, 1854-1896)

호는 경암(敬菴), 자는 경은(景殷, 敬殷)으로 본관은 달성이다. 명문가에서 태어나고 무과에 급제하기도 하였으나, 임오군란 후 묄렌도르프가 등용되는 것을 보고 김평묵의 문하에 나아가 공부하였고, 후에는 제천으로 이주하여 유중교를 쫓았다. 특히 장담으로 이사하여 장담 선비들 가운데 핵심인물이었고, 유중교의 사후에는 한 동안 장담 선비들의 강학을 이끌기도 하였다.

을미왜변과 단발령 이후에는 의병봉기를 주도하였다. 제천에서 이필희 의병이 출범할 때에 군사(軍師)로서 추대되어 장회전투를 지휘하였고, 유인석의 호좌의진에서는 영남 소토사(召討使)로서 활동하면서 의병을 반대하는 지방관들을 처단하고, 영남 7읍의 의병을 연합하여 태봉의 일본 병참을 공격하는 등, 호좌의진과 영남지역의 의진을 연대시키는 주도적 구실을 하였다. 관군의 공격으로 의진이 오랫동안 근거지로 장악하고 있던 제천을 빼앗기자, 서북쪽에서 재기할 것을 건의하고, 앞장서서 북상길을 개척하다가 낭천(화천)에서 전사하였으니 을미의병 '육의사'중의 한 사람이다.

무덤은 제천시 봉양읍 구곡리에 있으며, 1963년에 정부에서는 건국훈장 국민장을 추서하였다.

안승우 사진

안 승 우(安承禹, 1865-1896)

자는 계현(啓賢)이며, 호는 하사(下沙,夏史)이고 본관은 순흥(順興), 종응(種應)의 아들인데, 유중교와 이근원에게 배웠다. 갑오왜변 이후, 의병을 일으켰던 적이 있으며, 을미년의 단발령 이후에 의병을 일으킬 것을 주장하였고, 이춘영이 의병을 일으키자 적극 동참하였다. 이필희를 대장으로 추대한 후, 자신은 군무도유사로서 제천 .영서지역에서 의병을 소모하는데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유인석이 대장이 된 호좌의진이 출범한 후에는 전군장으로서 충주성전투에서 활약하였고. 제천으로 돌아온 후에는 중군장으로서 의진의 군무를 총괄하였다. 의진 내에 가장 강경한 주전론자로서, 제천에서 관군과 오랫동안 대치하면서 소용되는 물자징발을 주도하면서 굽힘없는 강경한 투쟁노선을 견지하여 비판받기도 하였으나,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1896년 5월에 관군에 의해 제천이 점령될 때에 남산에서 끝까지 분투하다가 전사하였다. 제천 을미의병시 육의사가운데 한 사람이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국민장을 추서하였다.

유인석 사진

유 인 석(柳麟錫, 1842-1915)

한말의 거유이며 의병장이다.호는 의암(毅菴), 자는 여성(汝聖), 본관은 고흥으로 춘천의 가정리에서 중곤(重坤)의 아들로 태어났다. 일찍이 이항로, 김평묵, 유중교등 화서학파 거유들에게 차례로 배웠으며, 유중교의 사후에는 그를 이어 선비들을 이끌었다.

을미년에 단발령이 있은 후, 처신방법을 두고 논의한 결과 의병을 일으키는 길, 망명하여 도를 지키는 일, 자결하거나 은거하는 길의 세 가지 노선을 정리하고 그 자신은 두 번째 길, 즉 망명하여 도맥을 지키는 길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그의 문인사우들이 봉기하자 이를 후원하였고, 후에는 그 자신이 대장으로 추대되어 호좌의진을 영도하게 되었다.

영월에서 등단한 유인석은 곧장 제천을 장악하고, 개화정부의 명을 받드는 지방관들을 처단하였다. 이후, 친일정책의 지방거점인 충주관창부를 공략하고, 영남지방까지 병력을 파견하여 기세를 올리는 등, 을미의병기 최대 전과를 올려 사방의 의병이 크게 일어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일본군의 공세에 견디지 못하고 제천으로 돌아온 호좌의진은 이후 주변의 여러 고을을 장악하고 사실상 군정을 실시하면서 가흥과 수안보의 일본군 병참을 공격하면서 재기의 기회를 노렸다. 그러나 결국 관군을 이끌고 온 장기렴의 군대에게 패하여 제천을 내주었고, 이후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서북지역에서 재기하기 위하여 서행길에 올랐다. 도중에 서상렬 같은 핵심간부를 잃고 서북지역에서의 재기도 여의치 않아 압록강을 건넜다. 이후 유인석은 만주지역에 항일운동의 근거지를 만드는데 전력하였으니, 이는 해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의 효시가 되었다.

한때 귀국하여 강학활동을 하면서 향약활동을 통하여 항일운동을 주도하기도 하였으나, 정미의병이 좌절되면서 다시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해당지역에서 활동하던 지사들과 협력하다가 만주로 이주하여 1915년에 서거하였다. 이처럼 그의 생애의 마지막 20년은 의병의 최고 지도자로서 의병의 화신과 같은 삶이었다.

그의 사후 항일의병은 독립군으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여 주게 된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군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그의 묘소는 중국의 관전현 난천자 평강산에 있었는데, 1935년 춘성군 남면 가정리로 이장하였다.

이강년 사진

이 강 년(李康秊,1858 ~ 1908)

호는 운강(雲崗,雲岡), 자는 낙인(樂仁,樂寅)으로 본관은 전주이다. 문경군 가은면 도태리에서 기태(起台)의 아들로 태어났다. 1880년 3월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이 되었으나, 개화정책에 불만을 느끼고 낙향하였다. 을미사변과 단발령이 이어지자 고향에서 창의하여 안동관찰사 김석중을 죽여 기세를 떨쳤으나, 곧 패하고 제천의 호좌의진으로 돌아와 유격장이 되었다. 이후 이강년은 덕산의 동창과 조령 일대를 주된 활동무대로 하여 일본군 병참을 공격하고, 한편으로는 영남에서 활동중인 서상렬 부대를 엄호하였다. 후에 제천의병이 장기렴의 관군에게 위협받게 되자 청풍쪽을 방어하였다. 그러나 제천을 빼앗긴 후로 서북쪽을 향하는 본진을 따르지 못하고 소백산에 들어가 해산하였다. 이듬해 요동으로 가서 유인석을 쫓았고, 단양 금채동으로 돌아와 은거하면서 부모를 봉양하였다. 동문들이 화서집을 간행할 때에도 적극 주선하였다.

1905년에 원용팔이 봉기하였을 때는 신병으로 참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곧 재기하여 1907년에 고종의 강제퇴위와 군대해산을 즈음하여 윤기영 등과 함께 의병을 크게 일으켰다. 먼저 제천으로 몰려든 여러 의진과 함께 제천의 천남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으며, 이후 호좌의진을 재건하여 대장의 자리에 올랐다. 이후 이강년의 의병활동은 후기의병전의 특징이기도 한 유격전의 양상을 띠었다.

가평, 싸리재, 영월. 죽령 등 소백산지대를 중심으로 하여 전개된 그의 활약은 험준한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끊임없이 이동하면서 적의 약점을 공격하는 전투의병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해 말로 접어들면서 일제의 탄압이 강화되고, 탄환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이강년의진은 공경에 처하게 되었다. 특히 복상골전투에서 많은 장졸이 체포되고 전사하는 치명적인 타격을 입은 후로는 의진을 급속히 북쪽으로 옮겨 가평 화악산 일대로 이동하였다.

이인영이 주도하는 서울진공 작전에 부응하는 면이 없지 않았지만, 겨울을 무사히 넘기기 위한 것이었다. 가평 일대에서 겨울을 넘기고 난 이강년은 이듬해 봄 그 곳을 떠나 영동지역을 거쳐 다시 제천 일대로 내려왔다. 이후 경북 북부지역인 서벽, 재산 등지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으나, 의진의 세력이 날로 떨어졌다. 결국 그 해 7월 2일의 작성산전투에서 부상으로 체포되어 10월 13일에 교수형을 받고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적을 기려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이세영 사진

이 세 영(李世榮, 1869~1951)

자는 광국(光國)이요, 본관은 경주로 제천의 두학동에 살았다. 을미의병기에 이미 의병에 가담하였다고 하는데, 1905년에 정운경이 봉기할 때도 협조하였고, 1907년 여름에 이강년이 호좌의진을 재건하였을 때에 감군장(監軍將)의 책임을 맡아 활약하였다.

1907년 11월에 수차례에 걸친 죽령전투를 치르고 난 후, 의진을 재정비할 때에 좌군장에 임명되어 영월 상동의 녹전에 주둔하면서 겨울을 넘길 준비에 동참하였다. 그러나 일본군의 계속된 공세 때문에 영월, 영춘 간에서 힘든 전투를 계속 치렀으며,12월 중순의 복상골 전투에서 패전한 이후, 의병들이 흩어졌을 때에 영월의 광전리 쪽으로 나아가 본진에 복귀하였다. 그러나 며칠 후, 주천의 다래산 전투에서 그가 이끌던 좌군이 무너지자.

이강년의 북상대열을 쫓지 못한 것같다. 후에 이강년이 순국하자 김상태 등과 함께 항전을 계속하였다. 일제는 이세영을 압박하기 위해 그의 본가를 불태웠으므로 가족들이 영춘으로 이주하여 살았으며, 의병을 해산하고 귀가한 이세영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인물사진 없음

이 정 규(李正奎, 1864 ~ 1945)

제천에 살았다. 자는 치심(致心)이며, 호는 옥산(玉山) 또는 항재(恒齋)이고, 본관은 평창이다.

유인석에게 나아가 배웠으며, 을미의병 때에 유인석을 쫓아 종군하고 의병측의 입장을 중앙에 알리기 위해 상경하여 종앙의 요로에 교섭하기도 하였다. 의진에 의해 처단된 단양군수 권숙의 아들이 아버지의 원수를 갚으려고 하자, 의리에 옳지 않음을 천명하였다. 유인석이 중국으로 망명하자 뒤를 쫓았고, 1905년에는 유인석의 지시에 따라 제천향약을 주도하였다. 정미의병 때에는 이강년의 참모 종사로도 활약하였고, 유인석이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한이후에는 국내에 남아 해외 동지들과의 연락을 담당하는 한편, 군자금을 모으는 일에도 적극적이었다.

만년에는 장담에서의 강회를 주재하고, 향리에서 후학을 지도하였다. 종군기록인 『종의록』을 남겼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기리어 1977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인물사진 없음

정 운 경(鄭雲慶, 1861 ~ 1939)

제천시 청풍면 월림리 출신으로 자는 화유(和有), 호는 송운(松雲)이다. 본관은 영일로 희원(羲源)의 아들로 태어났다. 1894년에는 영춘에 살면서 허준(許駿), 권진(權璡)등과 함께 농민군 지도부를 쳐부수기도 하였다. 을미의병 때에는 홍대석의 뒤를 이어 전군장이 되어 청풍의 북창 일대를 방어하였고, 후에 원주의 신림쪽을 막았다. 서행에 참여하였고, 원세계의 힘을 빌리기 위하여 심양에 파견되기 하였다. 이후 영춘 산골에 은거하면서 농민의 입장에 서서 부당한 관권에 대항하였고 향약운동을 주도하였다. 1905년 원용팔의 봉기 때에도 참여하였고, 원용팔이 체포된 이후 독자적으로 봉기하여 한때 단양을 장악하는 등 기세를 떨쳤으나, 곧 원주진위대에 체포되었다. 이후, 황해도 철도(鐵島)에서 2년 동안 유배생활을 하고 귀향하였다. 이후에도 지조를 굽히지 않고 일제에 항거하다가 투옥되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기리어 1977년 건국훈장 국민장을 추서하였다.

인물사진 없음

홍 사 구(洪思九, 1878-1896)

자는 우용(又容)이고, 본관은 남양이다. 유인석, 안승우 등에게 배웠으며, 을미의병 때에 안승우를 쫓아 의진에 가담하여 종사로 시종 곁을 떠나지 않았다.

1896년 5월 25일의 남산전투에서 장기렴이 이끄는 관군에 의해 성이 함락되고 장졸들이 모두 흩어졌으나 홀로 중군장인 안승우 곁을 떠나지 않았다. 스승이 몸을 피할 것을 여러 차례 명령하였으나, 피하지 않고 함께 순국하였으니 당시 나이 19세였다. 며칠 후, 박정수, 이정규 등이 시신을 수습하여 갈마골에 묻었는데, 한동안 무덤이 잊혀졌다가 발견되어 의림지 맞은편 산록에 이장되었다. 을미의병 육의사 중 한 사람으로 간주된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기리어 1963년에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담당자정보

부서
시립도서관
전화번호
043-641-3726